전체 글 1285

[조선일보] “대구 수돗물 3개월 마시면 정자수 감소” MBC 보도, 진실은…

환경과학원 “보도에 쓰인 측정값 자체가 신뢰할 수 없는 수치” 낙동강 권역 수돗물에서 녹조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는 대구MBC 보도와 관련, 국립환경과학원이 “부경대 이승준 교수팀이 쓴 검사법에선 본래 ‘미검출’로 표기돼야 하는 비(非)과학적 수치를 대구MBC가 마치 신뢰도 있는 값처럼 보도했다”고 반박했다. 앞서 대구MBC는 대구 주요 정수장에서 정수한 수돗물 시료(試料)를 이 교수팀에 의뢰한 결과 간독성을 일으키는 마이크로시스틴이 0.226~0.281ppb가 검출됐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캘리포니아주 환경건강위험평가국 기준으로 (대구)수성구, 동구 수돗물을 3개월 넘게 마시면 ‘정자 수 감소’ 등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를 계기로 일부 환경단체는 “제2의 낙동강 페놀 사태”라..

[폴리스TV] 경남도,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 주민 의견수렴을 위한 민관협의체 구성 완료

올해 11월 중 1차 회의 개최 예정 민관협의체, 취수지역 주민 지속 소통…피해 대책 마련 등 논의 경남도는 지난 3일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 추진과 관련하여 환경부에서 도가 건의한 취수지역 주민 의견수렴을 위한 민관협의체 구성을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지난 6월 30일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여 정부 사업으로 확정된 후, 취수지역에서는 사업 추진 조건인 지역주민 동의 및 소통 절차를 이행하지 않고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였다며 반발했다. 이에 경남도는 지난 8월 9일 이 사업의 추진을 위해서는 지역주민 의견수렴을 위한 정부 주도 민관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며 환경부와 경남도, 관련 시군, 수자원공사..

[폴리스TV] 지진에 불안하다…전국 정수장 염소가스 폭발성 경고

지난 10월 29일 충북 괴산에서 규모 3.5, 4.1 지진과 11월 1일 2.9 여진으로 국민을 놀라게 했다. 지진으로 전국 정수장에 대한 종합적인 안전진단에 비상이 걸렸다. 최근 괴산지역에서 발생한 진도 4.1의 지진 이후 전국의 댐과 보, 정수장 시설물 중 특히 폭발성이 강한 염소가스 시설에 대한 세부적인 진단과 사후 근본적인 대책 마련은 아직 미흡하다. 우리나라 정수장은 소독설비로 염소가스를 100년 가까이 사용하고 있는데, 사용 중인 염소가스는 황갈색의 기체로 자극성 냄새와 공기보다 2.5배나 무거워 누수 시 쉽게 제거되지 않고 주변 토양으로 오염을 확산해 식물을 괴사시키고 각종 시설물의 부식을 촉진하게 한다. 또한 누출 시 맹독성 염소가스를 흡입을 할 경우 호흡곤란 등 폐에 이상이 발생되며 공..

[연합뉴스] 낙동강 상수원에 '가을 녹조' 기승…조류경보 '경계' 격상

(부산=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 부산의 식수원인 낙동강 물금·매리 인근에 여전히 '가을 녹조'가 기승을 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낙동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낙동강 물금·매리 지점의 조류 경보가 지난달 27일 '관심'에서 '경계'로 격상됐다. 이 지점은 남조류 세포 수가 ㎖당 지난달 24일 2만5천586개를 기록한 데 이어 27일 1만2천188개, 31일 1만2천3개를 기록했다. 녹조는 보통 여름철 무더위로 수온이 올라가면서 빠르게 확산하는데, 11월인 가을에도 사라지지 않고 경보 발령이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최근 비가 거의 내리지 않은 데다 낙동강 하류라는 지리 특성상 오염물이 쉽게 쌓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낙동강유역환경청 관계자는 "낙동강 상류 지역은 급경사인 데..

[워터저널] 수돗물 안전위협, 시민안심을 위한 요구 / 백명수 시민환경연구소장

“수돗물 사고 후 마련한 환경부 대책 개선 필요” 정부의 ‘믿고 마실 수 있는 수돗물’ 공표와 달리 시민 우려는 지속 원수 수질에 따른 물이용부담금, 상수원수요금제 연동제 도입해야 2018년 이전 발생한 수돗물 관련 사고는 2〜3년에 한 번 꼴로 발생했다. 그러나 최근 5년 내 발생한 수돗물 관련 수질사고는 이 물이 쓰기에 적합한지에 대한 문제에 도달했다. 정수장 내에서 수돗물과 직결된 문제라는 수질에 대한 근본적인 우려가 가시지 않는다. 유해물질 중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조류독소는 자연발생 오염물질로, 기존 정부 입장과 다르게 실제 상수원에서 기준치 이하지만 독성물질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때 문제가 됐던 낙동강에서 검출된 과불화화합물(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워터저널] Part 04. 냉온수기·정수기 관리 감사 결과

감사원, “신고대상 냉온수기·정수기 관리 미흡” 냉온수기·정수기 청소 적정성 판단 지표로 일반세균 항목 적용 시급 수돗물 외에 다른 수원 이용할 경우 정수기 관리지침 세분화 필요 정수기 통과수 일반세균 조사하여 청소 주기·관리방법 구체화해야 환경부는 2010년 3월 22일 「먹는물관리법」 제8조의2와 「먹는물관리법 시행규칙」 제2조의2에 따라 냉온수기와 정수기의 설치 신고, 관리 방법 등의 규정을 마련하여 운용하고 시·군·구가 이를 적용하여 다중이용시설에 설치하는 정수기와 냉온수기의 수질을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냉온수기’란 용기(容器)에 담긴 먹는샘물 또는 먹는 염지하수를 냉수·온수로 변환하여 취수(取水) 꼭지를 통해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먹는 물에 함유된 오염물질에 대한 제거 기능은 없이 온..

[워터저널] Part 03. 먹는샘물 수질관리 감사 결과

“먹는샘물 수질관리 자동계측기 측정자료 관리 미흡” 환경부·광역자치단체, 2013년 이후 자동계측기 측정자료 수집·분석 미실시 감사원, “61개 먹는샘물 업체가 제출한 측정자료 검증 및 지도점검 소홀” IBWA, 원수서 오염물질 검출시 제품 오염되지 않도록 주기적인 모니터링 환경부는 「먹는물관리법」 제10조, 제22조 등에 따라 먹는샘물 업체의 샘물 또는 염지하수 개발이나 자동계측기 설치·운영을 포함한 영업허가의 절차와 요건, 그리고 먹는샘물의 수질기준을 마련하여 운용하고 있고, 수질기준을 위반한 경우의 조치와 처분을 규정하여 시·도로 하여금 먹는샘물 업체를 지도·점검하고 수질기준의 준수 여부를 감시·감독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 먹는샘물·지하수 수질변화 특성 「먹는물관리법 시행규칙」 제20조 관련 [..

[워터저널] Part 02. 먹는샘물 유통관리 감사 결과

“PET병 먹는샘물 유통과정 관리 허술” 서울 소매점 272곳 현장 점검결과 101곳이 야외 직사광선 환경에서 보관 고온·직사광선에 장기 노출시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물질 발생할 수 있어 감사원, 환경부에 “먹는샘물 PET병의 유해물질 안전기준 마련하라” 통보 환경부는 「먹는물관리법」 제36조와 「먹는물관리법 시행규칙」 제38조의3 등에 따라 ‘먹는물 지도·점검 규정’(환경부 훈령), ‘먹는샘물 표시기준 고시’(환경부 고시) 등을 제정하여 운용하고 있다. 「먹는물관리법」 제36조 제1항, 제37조, 제42조, 먹는샘물 표시기준 고시 제4조, 제5조, 제5조의2, 제8조에 따르면 먹는샘물의 용기는 그 재질로부터 유해한 물질이 용출되지 않고 재활용이 용이한 재질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고, 먹는샘물은 가급적 차고..

[워터저널] 감사원 ‘먹는물 수질관리 실태’ 감사 결과

“민간 수질검사기관, 부실 수질검사성적서 1만7천여건 발급” 먹는샘물업체 절반 이상이 수질기준 부적합으로 행정처분…먹는물 불신 가중 ​​​​​​​다중이용시설 정수기·냉온수기 일반세균 관리기준 설정 등 위생관리 대책 필요 환경부는 「먹는물관리법」 등에 따라 국민 건강보호를 위해 먹는물의 수질관리시책을 마련하고 먹는물 관련 사업자를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시 서구에서 2019년 5월 붉은 수돗물이 공급되고, 2020년 7월에는 깔따구 유충이 발견되는 등 수돗물 수질에 대한 국민 불안감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먹는샘물(생수) 업체의 생산액은 증가하고 있으나 최근 5년간(2015〜19년) 업체의 절반 이상이 수질기준 부적합으로 행정처분을 받는 등 먹는물에 대한 불신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감사원은 지난해 9..

[부산일보] 부산 먹는 물 이대로는 안 된다

최소남 전 부산시 여성단체협의회장·맑은물 부산범시민대책위원회 상임대표 ‘물에 빠진 사람 지푸라기라도 잡는다’라는 말이 있다. 연일 쏟아지는 부산 물 문제를 다룬 보도를 보다 보면, 무슨 해결 방법이 없을까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이다. 전국 암 발생률 1위, 전국질병률 1위라는 뉴스를 보며, ‘왜 이럴까? 아마도 부산 물 때문이 아닌가?’라고 되뇌었다. 1991년 구미공단 페놀 유출사건 이후 30여 년 동안 꾸준히 정부를 향해 인간이 살아가는 데 가장 기본권이라 할 수 있는 먹는 물만큼은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물을 먹을 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했지만, 부산 물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갓난아이가 엄마의 가슴에 파고들어 젖줄을 삼키듯, 부산시민은 낙동강에 호수를 묻어놓고 하루 100만t이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