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82

[폴리스TV]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고도정수처리공정 운영강화…먹는 물은 안전

낙동강 남조류 급증으로 물금·매리 지점 조류경보제 경계단계 발령 최근 강수량 부족과 급격한 기온상승으로 낙동강 물금·매리 지점의 조류경보제가 관심단계(6.2.)에서 경계단계(6.23.)로 격상함에 따라,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취수원의 조류 유입을 차단하고 정수장의 정수처리공정 운영을 강화해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을 시민들에게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부산시의 취수원인 물금·매리 지점의 남조류 세포수는 지난 6월 20일 mL당 103,177개를 기록했고, 지난 6월 23일부터는 이 지점에 조류경보제 경계단계가 발령돼 이어오고 있다. 최근에도 이 지점은 7월 4일 69,473개, 7월 7일 46,752개 등 mL당 세포 10,000개 이상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앞으로도 낙동강 중․상류 지역의 ..

[news1] 물관리기본법 시행령 개정안 시행..물 분쟁 지원 체계 강화

(세종=뉴스1) 황덕현 기자 = 환경부는 물관리 관련 계획의 부합성 심의 지원체계 강화를 골자로 하는 '물관리기본법 시행령' 개정안이 12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돼 '물관리기본법 시행규칙'과 함께 7월 중에 시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이번 물관리기본법 시행령 개정으로 물관리위원회 심의 지원체계를 강화했다. 또 물분쟁 조정 사건의 처리절차를 명확하게 하는 등 지난 2019년 6월에 '물관리기본법'이 제정‧시행된 이후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부족한 점을 보완했다. 우선 국가물관리기본계획 또는 유역물관리종합계획과 중앙행정기관 또는 지자체의 장이 수립한 물관리 관련 계획의 부합 여부를 심의할 때 물관련 전문기관에 현지조사 또는 전문적·기술적 사항을 검토 의뢰할 수 있도록 했다. 전문기관은 한국환경연구원, 국립..

[폴리스TV] 환경부, 환경정책에 대해 산업계 현장목소리 듣다

환경부 정책간담회…산업계 대표들의 제언 수렴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지난 7월 8일 오전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한국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회장 이경호, 이하 협의회) 회원사 대표들과 정책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대표들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많은 기업들이 공감하고 있으나, 환경제도와 규제를 현장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전하고, 기업들이 탄소중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지원 및 제도개선 등 여러 의견을 제시했다. 한화진 장관은 이날 간담회에서 "'자율과 창의로 만드는 담대한 미래'라는 국정목표 아래, '탄소중립 실현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겠다'는 새 정부의 약속을 이행하는 주관부처로서 그 약속을 성실이 이행하겠다"며 "환경부는 우리 산업계의 든든한 ..

[국제신문] 창원시 석동정수장 유충 발견 전파 지연 사과

깔따구 추정 유충 발견돼 여과지 세척 등 긴급조치 경남 창원시가 10일 진해 석동정수장의 깔따구로 추정되는 유충 발생과 관련해 입장을 밝혔다. 시민 생활과 밀접한 수돗물로 인해 걱정과 불편을 안겨드린 점, 유충 발생 사실 전파가 지연된 것을 사과하고, 시민이 안심하고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시의 행정력을 총동원해 최대한 빨리 수돗물 공급을 정상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시는 지난 7일 오전 10시께 석동정수장에서 깔따구로 추정되는 유충이 발견돼 유충의 불활성화율을 높이기 위한 염소 투입을 비롯, 여과지와 침전지를 세척했다. 또한 낙동강유역환경청 한국수자원공사와 함께 2차에 걸친 비상대책 회의를 개최, 수돗물 모니터링 지점을 선정하고 여과지 여층 조사와 공급 관로 조사 등을 진행했다. 급속여과지 역세척을 추가..

[폴리스TV] 왜 일부 지자체에서는 수돗물 처리에 저품질의 2종 차염을 사용할까?

수도법에서는 수돗물이 대장균이나 수인성 전염병균 등으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잔류염소농도를 평상시 0.1mg/kg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잔류염소농도를 유지 시킬 수 있는 소독제는 ‘염소제 소독제’가 유일하다. 염소제 소독제는 기체인 염소가스(Cl2)와 액체인 차아염소산나트륨 (NaOCl, 이하 ‘차염’ 이라 함)이 있다. 염소가스는 공기보다 무겁고 물과 결합할 경우 염산이 생성되는 특성이 있어 인류 최초의 화학무기로 사용되었을 정도로 매우 위험한 물질이다. 이런 위험성 때문에 미국, 영국 등 선진국에서는 염소가스 운반차량의 도심지 통과를 금지하고 있고, 인구밀집지역에 염소가스 사용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5년 화학물질관리법이 제정되어 염소가스 사용이 까다로워져 2015년 이후..

[국제신문] ‘녹조 라떼’로 변한 낙동강…“수돗물 끓여 먹으라”

폭염·가뭄 탓 남조류 개체수 지난해 6월 대비 7배 증가 영남의 식수원인 낙동강이 짙은 녹색을 띄고 있습니다. 가뭄과 일찍 찾아온 폭염에 녹조 원인 물질인 남조류가 확산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지난 6월 평균 남조류 개체수는 지난해 6월보다 약 7배 증가했습니다. 진주 진양호에선 조류를 정수하지 못해 수돗물에서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진주시는 수돗물을 3분간 꼭 끓여먹으라고 당부하기도 했는데요. 국제신문이 ‘녹조라떼’로 변한 낙동강을 다녀왔습니다. 지난 7일 오후 1시. 경남 물금·매리취수장 옆 낙동강이 녹조로 가득 차 있습니다. 녹조는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남조류가 과도하게 성장하는 현상인데요. 인간 활동으로 배출된 오염물질로 강의 ‘부영양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녹조가 확산합니다. 녹조로 뒤덮인 경남 ..

[KBS NEWS] 약속했던 ‘녹조 저감 장치’…도시공사, 수년째 설치 안 해

[앵커] 올해 낙동강에는 평년보다 녹조 경보가 일찍 내려지고, 유해 남조류 수도 급증했습니다. 해마다 여름마다 녹조가 심각해지는 상황인데요, 그런데 부산도시공사가 산업단지를 개발하며 약속한 '녹조 저감시설'은 수년째 설치가 안 되고 있습니다. 어떻게 된 일인지, 강예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2019년 준공한 부산신항 배후 국제산업물류도시. 축구장 80개 정도의 규모로 산업 단지가 들어서 오염 물질이 배출되면, 녹조가 확산할 가능성이 커 준공 전에 저감장치를 설치하기로 약속했습니다. 부산도시공사가 제출한 환경영향평가서를 보면, 서낙동강과 유수지에 태양광 물순환장치를 설치한다고 돼 있습니다. 계획대로라면 산업단지가 완공된 뒤 저감장치를 가동해야 하지만 설치는 시작조차 못 하고 있습니다. 낙동강유역..

[글로벌환경신문] 탁상행정 낙동강유역 수돗물 예타통과, 즉시 폐기하고 원점에서 다시 시작하라

윤석열 정부 환경부는 낙동강 유역 물 공급의 혁신적인 안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했는데 의외의 결과가 나와 실망감을 주고 있다. 6월 30일 2조 4,959억원 예산의 환경부 낙동강유역 수돗물 공급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이것으로 맑은 물, 안전한 수돗물 공급 길이 열린 게 아니라 얼마 안 가 재앙이 될 것 같다. 부산시민의 30년 숙원인 안전한 상류댐 물은 빠진 채 온갖 오염물질이 들어간 강물을 또 공급하는 우를 되풀이하기 때문이다. 좁은 황강에 축산 오폐수가 유입되고 각종 생활하수와 농약이 흘러간 강물을 고도 정수 처리하여 수돗물로 공급하는 것을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이라고 말하는 환경부는 안전한 먹는 물에 대한 인식이 부재하다. 이번 결정에 주요 이해당사자인 부산시..

[폴리스TV]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분말활성탄 투입·저장시설 설치로 고품질 수돗물 생산한다.

낙동강 수계 수질사고 및 미량 유해화학물질 대응 위한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2019년 4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총사업비 120억 원(국비 54억, 시비 66억)을 투입해 덕산정수장과 화명정수장에 분말활성탄 투입·저장시설을 설치했다고 밝혔다. 이 시설은 ▲미량 유해화학물질(과불화화합물 등)의 제거 ▲낙동강 수계 유류 오염사고 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 ▲염소소독 시 발생하는 소독부산물 저감 ▲ 조류에서 기인하는 맛․냄새 유발물질 등의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분말활성탄을 투입·저장하는 고도정수처리시설이다. 시설용량은 덕산정수장 560㎥, 화명정수장 370㎥ 규모로, 미량유해물질이 유입되는 농도에 따라 분말활성탄을 1ppm~50ppm까지 탄력적으로 투입할 수 있어, 고품질 수돗물 생산에 많은 도움이 될 ..

[폴리스TV] 부산시민 30년 숙원사업 해결 물꼬 텄다… 낙동강 유역 먹는 물 안전 확보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 예타 통과 부산 맑은 물 확보의 운명이 걸린 2조 원 규모의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여 정부사업으로 확정되었다, 기획재정부는 6월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22년 제2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를 개최하여 이번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을 조사하고, 사업의 타당성이 확보(AHP 0.556)된 것으로 심의·의결했다. 경제성‧정책성‧지역균형발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의사결정 방법으로, 종합평가(AHP) 결과가 0.5 이상일 경우 사업 시행이 타당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번 사업은 낙동강 유역 취수원의 다변화를 통해 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 등 낙동강 유역 700만 주민의 먹는 물 안전을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