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85

[워터저널] Ⅰ. 세계기상기구(WMO) 보고서

지난 10년간 기후변화 영향력 급속도로 커져 2023년, 기록상 가장 더운 해로 기록…전 세계 빙하 연평균 1m씩 얇아져 지구 축적 열 90% 바다에 저장돼…지난 20년 동안 해양 온난화 급증 3대 온실가스(CO2·CH4·N2O) 대기농도 지속 증가…기온 상승 방지 위해 배출량 줄여야 2011〜2020년 기후변화의 속도 및 영향 급증 (Rate and Impact of Climate Change Surges Dramatically in 2011〜2020) 세계기상기구(WMO)는 △2011〜2020년 기록적인 더위 기록 △전례 없는 빙하 및 빙상 녹음 △해수면 상승 가속화 △해수면 기온 및 산성화로 해양 생태계 파괴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DGs)를 저해하는 극한 기후 △오존층 회복 궤도 진입 등의 주요 ..

[연합뉴스] 日강진, 이젠 '물'과의 싸움…장기 피난·단수에 위생 악화 우려

약 9만가구 단수…노토반도 통행금지 도로 많아 급수에 오랜 시간 "집단생활은 위생에 취약"…기시다, 피난소 위생 개선 등 지시 강진에 단수 시달리는 日 이시카와현 주민들 (시카마치 AP·교도=연합뉴스) 3일 일본 이시카와현 지진 피해 마을인 시카마치에서 사람들이 물을 배급받고 있다. 2024.01.03 besthope@yna.co.kr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지난 1일 규모 7.6의 강진이 덮친 일본 혼슈 중부 이시카와현 노토(能登)반도 주민들이 단수와 급수 부족으로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5일 보도했다. 이시카와현 당국은 전날 오후 3시 기준으로 8만900가구가 단수를 겪고 있다고 밝혔다. 인접한 도야마현도 9천200가구가 물을 공급받지 못하는 상태라고 전했다. ..

[kbs] 지하수도 ‘출렁’…일본 동·서 지진 모두 한반도에 영향

[앵커] 지진 전문가들은 이번 지진 보다 더 큰 규모의 또 다른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노토 반도의 강진으로 한반도의 지하수 수위는 최대 1미터 이상 출렁인 것으로 K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이슬기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질자원연구원의 지하수 관측망에 수위 변화가 감지된 건 지난 1일 오후 4시 13분쯤입니다. 노토 반도에서 강진이 발생한지 3분 만에 한반도 지반이 영향을 받은 겁니다. 진앙에서 약 8백 킬로미터 떨어진 문경 관측망의 지하수는 3시간가량 출렁였는데, 이때 기록된 최대 진폭은 107센티미터였습니다. 지진에 따른 지하수 수위 변화가 초 단위로 정밀 측정된 것은 국내에서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수현/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 "지진으로 인해서..

[경향신문] 16년 전으로 퇴행한 하천정책

국내 하천 정비와 보전 정책의 기본이 되는 법률인 하천법 제1조에는 “하천의 자연친화적인 정비·보전을 위하여”라는 문구가 있다. 노무현 정부 때인 2005년 7월 개정되면서 들어간 ‘자연친화적인’이라는 표현은 이전까지 댐 및 보 건설과 준설 등 파괴적 방식이 주를 이뤘던 하천정책에 대한 반성에서 나온 것이었다. 이를 근거로 2006년 만들어진 정부의 ‘2006~2020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은 댐 건설을 축소하고 홍수터를 늘리는 등 자연복원의 정신을 담고 있었다. ‘강에게 공간을(room for the river)’이라는 표현에도 일정 부분 부합하는 내용이었다. 이 같은 자연복원의 정신을 무시하고, 20세기식 대형 댐 건설과 마구잡이식 준설로 하천 생태계에 돌이키기 어려운 피해를 입힌 것이 바로 이명박 정부..

[환경타임즈] 국민환경보호지출액,47조 6,958억원

전년 대비 3,2% 증가 (46조 2,269억 원)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2021년 기준 환경보호지출계정을 편제한 결과, 국민환경보호지출액이 47조 6,958억 원으로 집계되어 전년(46조 2,269억 원)에 비해 3.2% 증가했다고 밝혔다. ‘환경보호지출계정’은 정부, 기업 등의 각 경제주체가 환경보호를 위해 얼마만큼의 금액을 지출하는지를 대기, 폐수, 폐기물 등 환경영역별로 추계하는 국가승인통계다. 이 통계는 과거 한국은행에서 편제하다가 2009년 이후 환경부가 매년 편제 작업을 맡고 있으며, 주요 결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도 제출하고 있다. 한편, 국민경제 전체적으로 환경보호를 위해 얼마만큼의 비용을 지출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인 ‘국민환경보호지출률*’은 국내총생산 증가에 따라 전년(2.3..

[워터저널] 겨울철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첨단장비 동원, 배출사업장 감시

단감시장비(드론, 실시간 이동 측정차량) 활용, 미세먼지 배출사업장 주변 집중 감시 및 맞춤형 컨설팅 제공 낙동강유역환경청(청장 최종원)은 고농도 초미세먼지(PM2.5) 추세에 사전 대응을 위해 연말, 연초 첨단 감시기법을 동원하여 산업단지 및 사업장 밀집 지역에 대한 감시활동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최근 기온 이상으로 공기층의 정체가 발생하고, 우리나라의 서쪽에서 발생한 국외의 초미세먼지가 유입되는 등, 계절적(기후적) 영향으로 인한 초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따른 것이다. 낙동강환경청은 첨단감시장비인 드론 4대, 실시간 이동측정차량 2대를 활용하여 초미세먼지 및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 기여도가 높은 사업장에 대한 상시적인 추적․관찰 및 현장에서 실시간 의심사업장 선별 등 감시를 강화할 계획이다. ..

[워터저널] 한화진 환경부 장관 2024년 신년사

"국민 안전과 생명을 최우선의 가치로 두는 환경정책 펼칠 것" "경제·기후 위기라는 새로운 도전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도약 기회 만들어야" 2024년, 환경부 승격 30주년 맞아 … 커가는 국민 기대 부응하고 책임 다해야 한 화 진환경부 장관 환경 가족 여러분! 2024년, 희망찬 갑진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올해는 푸른 용의 해입니다. 환경 가족 여러분 모두 푸른 용의 기운을 가득 받아 새해 소원 성취하시길 바랍니다. 환경부 장관으로 임명받은 지가 엊그제 같은데 시간이 쏜살같습니다. 돌이켜보니 2023년도 많은 환경현안으로 다사다난한 해였습니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봄철 남부지역 가뭄과 집중호우입니다. 극한 호우와 가뭄으로부터 국민안전을 지키기 위해 관련 법령을 마련하고 치수·이수 대책을 수립하는 등..

[워터저널] 악시오나, 홍콩 ‘쩡관오 담수화 시설’ 가동

첨단 역삼투압 담수화 기술 채택…하루 13만5천㎥의 식수생산 능력 갖춰 홍콩의 유비케이티드(ubicated)인 쩡관오 담수화 시설(Tseung Kwan O Desalination Plant, TKODP)의 1단계가 지난 12월 22일 시운전을 완료하여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새롭고 안정적인 수자원을 제공하는 랜드마크(landmark)가 되었다. 이날 시운전 행사에서 물 공급을 담당하는 수무국(Water Supplies Department, WSD)의 대변인은 “TKODP(쩡관오 담수화 시설)는 첨단 역삼투압 담수화 기술을 채택한 홍콩 최초의 상수도”라고 말했다. 이 시설은 지난 11월 20일 중국 건설산업위원회(CIC)가 주관하는 ‘CIC 지속가능건설 대상 2023(Construction Indus..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 이름 바뀐다…34년 만에 새이름 '서울아리수본부'

서울시상수도사업본부 새이름 ‘서울아리수본부’ CI(건물 적용 예시) 서울특별시상수도사업본부가 1989년 출범 이후 34년 만에 ‘서울아리수본부’로 기관 이름을 바꾸고 C.I도 새롭게 개발해 시민을 찾아간다. 그동안 ‘서울특별시상수도사업본부’는 한자 기반의 12자로 이루어진 긴 기관 이름으로 인해 그동안 쉽게 부르고 소통하기가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본부는 ‘관을 통해 물을 보내는 설비’를 뜻하는 ‘상수도(上水道)’가 시민에게 ‘매립 노후관’을 연상시켜 수돗물이 먹는 물로 자리매김 하는데 저해요소로 작용한다고 봤다. 특히 단순히 수도관 관리가 아닌 세계 최고의 맛있는 물을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 AI로 초고도 정수처리 추진’, ‘350개 항목의 철저한 수질관리’, 한 가지 민원을 신청해도 주요 5대..

[환경타임즈] 국민환경보호지출액,47조 6,958억원

전년 대비 3,2% 증가 (46조 2,269억 원)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2021년 기준 환경보호지출계정을 편제한 결과, 국민환경보호지출액이 47조 6,958억 원으로 집계되어 전년(46조 2,269억 원)에 비해 3.2% 증가했다고 밝혔다. ‘환경보호지출계정’은 정부, 기업 등의 각 경제주체가 환경보호를 위해 얼마만큼의 금액을 지출하는지를 대기, 폐수, 폐기물 등 환경영역별로 추계하는 국가승인통계다. 이 통계는 과거 한국은행에서 편제하다가 2009년 이후 환경부가 매년 편제 작업을 맡고 있으며, 주요 결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도 제출하고 있다. 한편, 국민경제 전체적으로 환경보호를 위해 얼마만큼의 비용을 지출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인 ‘국민환경보호지출률*’은 국내총생산 증가에 따라 전년(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