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기고〕 “낙동강 녹조문제와 부산시의 대응…안전하고 고품질 수돗물 공급과 행정적 책임“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 2024. 11. 6. 13:42

김현택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이사장

낙동강은 올해 36일 가까이 3급수를 초과하는 녹조문제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자원공사는 여전히 이 물을 사용하도록 허용했습니다. 이는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14조를 위반한 것이며, 수질기준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는 법률의 요구를 무시한 행위입니다.

부산시는 낙동강 원수를 사용하면서 더욱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소독제 관리가 미흡해 시민들의 건강에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지난 104, 부산시는 화명 및 삼락수상레포츠타운에 발령된 조류경보를 해제한다고 발표했지만, 녹조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부산환경단체 낙동강네트워크는 지난 1021,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시민은 녹조로부터 안전한 낙동강을 원한다"고 강력히 주장했습니다. 단체는 "녹조 독은 끓는 물에서도 사라지지 않으며, 인체에 유입될 경우 치매, 간암, 신경마비 등의 심각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또한, "낙동강에서 활동한 경험자와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50%에서 유해 남세균 독성물질이 검출되었다"고 밝혔습니다.

녹조 독성물질 검출 사례는 이미 여러 차례 보고되었습니다. 2015년 낙동강에서 미국 친수활동기준의 58배인 465ppb가 검출되었고, 2022년 창원 수돗물에서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생식 독성기준의 5.8배를 초과한 0.175ppb가 검출되었습니다. 지난해에는 낙동강으로부터 3.7떨어진 양산의 한 아파트 거실 공기 중에서도 녹조 독이 검출되었습니다.

환경부는 "녹조 독이 낙동강에서 미량 검출되었고, 수돗물과 공기 중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으나, 환경단체와 민간전문가의 공동조사요구는 외면하고 있습니다. 4대강 사업 이후 낙동강의 녹조 발생이 13년째 지속되고 있으며, 이에 낙동강네트워크는 정부에 "녹조 관련 환경 피해 대책을 마련하고, 국회는 책임자 처벌과 재발 방지를 위한 청문회를 열어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부산시는 시민들의 안전한 친수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지난 6월부터 조류경보제를 시범 운영해왔습니다. 그러나 녹조문제는 단순히 일시적인 대응으로 해결되지 않으며, 심각한 환경문제로서 부산시민들의 건강과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부산시는 낙동강의 물을 사용하는 데 있어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소독제 관리(, 독성물질인 염소가스 소독제 사용에서 안전하고 고품질 소독제 1종 차염으로의 전환)와 같은 기본적인 조치조차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는 시민들이 마시는 물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이는 행정의 책임과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대한민국 물질위생법은 3급수 이상의 물은 취수를 금지하고 있으며, 이는 위생적으로 불결한 물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규정입니다.

조류경보제를 통해 유해 남조류의 개체수를 모니터링하고 조치를 취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이는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일시적인 대책에 불과합니다. 유해 남조류의 발생 원인과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방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사전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낙동강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기적인 프로젝트를 추진해야 합니다. 수질오염의 원인을 제거하고, 녹조발생을 근본적으로 줄이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시민들이 낙동강의 환경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인식하고, 함께 해결해 나갈 교육과 참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합니다. 이는 공공의 문제이기 때문에 시민들의 협력이 꼭 필요합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낙동강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안전한 물 공급을 보장함으로써 부산시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지킬 수 있습니다. 환경부나 수자원공사는 물론 부산시는 관련 법령을 철저히 준수하며, 행정의 책임을 다해 시민들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는 부산시의 중요한 과제이며, 시민들의 신뢰를 회복하는 길입니다.

아울러 환경부와 수자원공사 그리고 부산시는 원수다변화를 위한 광역상수도정책을 추진 중이나, 창녕, 합천, 의령지역의 여과수를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지역주민들의 강한 반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 정책추진은 30여 년째 답보 상태에 머물고 있습니다.

이제 부산시의 원수다변화 정책도 완전히 새로운 틀을 갖추어야 할 때입니다. 해양도시 부산의 특성을 살려 바닷물을 이용한 30만 톤에서 40만 톤 규모의 해수·기수담수화 시설도입은 물론 식수공급을 위한 식수전용댐 건설을 통한 물 공급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합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식수공급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으며, 한강유역과는 달리 낙동강유역은 99개 산업단지에서 정수한 폐수가 그대로 낙동강 본류로 흘러들어가면서 원수오염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낙동강 원수에만 의존하는 현재의 식수공급 방식은 부산시민들의 건강과 생명에 직결되는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환경부나 수자원공사 그리고 부산시는 이러한 문제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부산시민과 영남권 주민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하고 고품질의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이는 부산시와 영남권 주민의 주요과제이며, 시민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무엇보다 가장 시급한 문제입니다.

김현택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