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기고〕 부산의 먹는 물이대로는 안 된다.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 2024. 3. 28. 13:58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 김현택 이사장〕

부산의 먹는 물 문제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맑고 안전한 물을 마시는 것은 우리 모두에게 필수적인 권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산의 물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1991년 구미공단 페놀유출사건 이후 30여 년 동안 부산시민들은 정부에 먹는 물의 안전성을 요구해왔다. 하지만 낙동강 원수는 오염물질에 뒤엉켜 독소를 품고 있으며, 부산시민은 이 물을 고도정수처리해 마시고 있다.

낙동강 특별법은 수변구역 지정, 오염총량제도입, 상수원수질개선 및 규제주민에게 지원하는 물이용부담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여전히 부산시민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물이 없다.

부산시민의 안전하고 맑은 물을 먹기 바라는 염원과 간절함이 담긴 물이용부담금 8000억 원이 넘는 돈은 어디로 갔을까?

지금도 낙동강 원수의 오염은 계속되고 있으며, 새로운 미량유해화학물질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다보니 부산시민의 수명이 전국에서 가장 짧을 수밖에 없다는 게 통계상에서 나타나고 있다.

부산시민들은 맑은 물을 넘겨주지 못하는 일이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얼마나 부끄러운 일인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우리는 지푸라기라도 잡아야 한다. 부산의 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과 투자가 필요하다.

부산의 물 문제는 심각한 문제이다. 낙동강 원수가 오염되어 안전하지 않은 상태로 공급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협력하여 낙동강 원수의 오염을 줄이는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 환경보호 및 수질개선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아울러 부산시민은 수돗물 필터를 사용하여 물을 정화할 수 있다. 이는 일시적인 해결책이지만, 일상적으로 물을 먹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부산의 먹는 물 문제를 해결하려면 부산에 널린 해수와 기수(해수담수)를 담수로 바꾸는 시설이 있어야 한다. 하루빨리 물융합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해 실증화 작업에 나서는 것이 급선무이다.

우리나라 해수담수시설은 경기 안산과 충남 서산, 포항제철소, 광양제철소 등 78곳에서 운영되고 있다. 전남 완도군은 1700급 선박 드림즈를 이용한 선박해수담수화 플랜트로 소안도 주민에게 1300의 식수를 공급하고 있다.

제주도에서도 추자도 가파도 마라도 등지에서 해수담수화시설로 담수를 공급한다. 기장 해수담수화시설이 방사능 오염물질 유출 우려 때문에 제대로 가동되지 못해 안타까운 실정이다.

그런 선입견 때문이라면 원전의 영향이 없는 가덕도와 영도 등지에서 30규모 담수를 만드는 등 기술 축적에 나서야 하는 등에 조치들을 통해 부산의 물 문제를 해결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부산시가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낙동강이 부산시민의 상수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강물은 특정 유해화학물질에 상시 노출되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부산시는 낙동강에서 물을 뽑아낼 때 최적의 방법을 도입하여 오염물질을 최소화한다는 것 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관리한다는 것 낙동강의 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법과 제도를 개선해나간다는 것 가축분뇨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안을 개선하여 물 오염을 줄인다는 것 노후주택의 수도꼭지 수질을 개선하여 시민들이 안심하고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한다는 것 물 재활용 비율을 확대하여 물을 재활용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하천수인 오염된 낙동강 물을 정수해서 마신다는 것은 근본적인 맑은 물 정책이 아니라는 것이다. 보다 적극적으로 해수·기수 담수화 및 댐 건설을 통한 부산의 물 공급정책으로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전환해야 부산시민들이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을 것이다.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 김현택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