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부산,경남 지역민들의 젖줄인 낙동강은 녹조 창궐과 수질오염으로 시름하고 있습니다.
최악의 식수원이란 오명까지 안게 된 가운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결해야할지를
논의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 전문가들이 한데 모였습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경남도민의 과반수와 부산시민의 절대다수,
무려 500만명이 낙동강을 식수원으로 삼고 있습니다.
그런데 댐이 아닌 강물이 식수원인 곳은 낙동강 유역이 유일합니다.
중상류에서 배출한 하수를 정수해서 다시 식수로 이용해야하는 처지,
식수원 문제에 대한 치열한 고민의 필요성은 한 시민의 따가운 질문에 고스란히 녹았습니다.
{토론회 방청객/”수도권에 저렇게 돼있다면 지금처럼 정부정책이 돌아갈까 싶구요. 여기에 거주한다는 이유로 우리가 그냥 숙명적으로 받아들여야할까요?”}
전문가들은 낙동강 수질 개선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를 주문했습니다.
{백경훈/부산연구원 선임연구위원/”TOC(총유기탄소)를 포함한 수질오염총량관리제를 시행함에 있어서 좀 조기에 시행할 수 있도록..”}
환경부는 낙동강의 구조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취수원 다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박재현/환경부 물통합정책관/”취수를 강에서 직접 하는 문제에 대해선 획기적으로 좀 다른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수혜지역과 취수 예정지를 모두 관할하는 경남도는 신중한 입장입니다.
대체 식수원 개발 필요성엔 공감하면서도 취수지역의 동의를 전제로 내세웠습니다.
{정석원/경남도 환경산림국장/”취수지역 도민들의 일방적인 희생은 있어서는 안되고 (주민들에 대한) 설득과 동의 절차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특히 혹시 모를 피해 가능성 등에 대한 정부 조사의 신뢰 확보 중요성도 부각됐습니다.
{이용곤/경남연구원 선임연구원/”(사전 피해조사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소통을 해가지고 주민들한테 결과에 대한 신뢰를 얻어서 추진을 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환경부는 새로운 규제나 취수지역민들의 물 이용장애는 없도록 하는 방안임을 거듭 약속했습니다.
{박재현/환경부 물통합정책관/”추가적인 규제는 없는 것으로 법령에 아예 못을 박았습니다. 기존 주민들의 물 이용에는 전혀 지장이 없도록 취수원의 위치만 바뀔 뿐이지 취수량이 달라지는 것도 아닙니다.”}
부산시는 시민이 내는 물이용부담금의 상당부분을 취수예정지에 지원하는 방안까지도 고민하자는 입장입니다.
{이근희/부산시 환경물정책실장/”낙동강 물을 (식수로) 부산시가 의존하지 않는다면 그것(물이용부담금)을 취수 지역들에 500억원을 다 줘도 되는거죠.”}
낙동강 식수원 문제의 세 주체인 환경부, 부산시, 경남도 고위 관계자들이 시민들과 함께 공개적으로 머리를 맞댄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KNN 특별기획 토론회/9일 저녁 6시 10분 KNN TV 방송-100분}
이번 토론회는 내일(9) 저녁 6시 10분 KNN TV와 유튜브를 통해 중계됩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물산업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리스TV] 낙동강하구에코센터, 제13회 겨울철새 맞이 행사 개최 (0) | 2022.11.14 |
---|---|
[국제신문] ‘낙동강물 공급’‘하단~녹산선’ 국비 한푼도 없다 (0) | 2022.11.14 |
[KNN] 엉터리 양수시설에 낙동강 보 개방 난관 (0) | 2022.11.14 |
[KNN] 낙동강 중상류 유해화학물질 ‘콸콸’ (0) | 2022.11.14 |
[조선일보] “대구 수돗물 3개월 마시면 정자수 감소” MBC 보도, 진실은… (0) | 2022.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