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산업 관련뉴스

[워터저널] PUB, 획기적인 물기술 개발 위한 공개 제안 요청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 2023. 11. 8. 09:19

에너지·폐기물 감소 및 탈탄소화, 수질 분야 혁신적인 기술 개발 위해 공개 제안 

에너지·화학물질 소비 및 폐기물 발생 감소시켜 수자원 늘리고 수질개선이 목표

제안서 제출 마감일 2024년 2월 2일 오후 4시까지…설명회는 오는 11월 9일 개최

싱가포르의 4개 국립 수돗물(지역 집수 용수, 수입 용수, 재이용수(NEWater) 및 담수화 용수) 중 뉴워터(NEWater)와 해수담수화 물은 모두 기후에 탄력적이지만 에너지 집약적인 수원이다. 이에 싱가포르 국립 수자원청(PUB)은 에너지 및 폐기물 감소, 탈탄소화 및 수질 분야의 혁신적인 기술과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공개 제안요청(RFP)을 시작했다. 사진은 싱가포르에서 제일 큰 투아스프링스 해수담수화 시설(Direction Tuaspring Des-alination Plant). 하루 담수생산량은 약 32만㎥이다. [사진출처(Photo source) = 워터저널 DB자료]

싱가포르 국립 수자원청(PUB)은 에너지 및 폐기물 감소, 탈탄소화 및 수질 분야의 혁신적인 기술과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공개 제안요청(Request-for-Proposal, RFP)을 시작했다.

이 보조금 요청은 국립연구재단(National Research Foundation, NRF)이 자금을 지원하는 CWR(Competitive Funding for Water Research, 물 연구를 위한 경쟁력 있는 자금) 이니셔티브에 속한다.

싱가포르의 물 수요는 경제 및 인구 증가로 인해 오는 2065년까지 거의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물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 소비량과 수처리 공정의 부산물인 슬러지 발생량도 증가하게 된다.

기후변화로 인해 장기간의 가뭄 위험은 물 공급에도 영향을 미친다. 싱가포르의 4개 국립 수돗물(지역 집수 용수, 수입 용수, 재이용수(NEWater) 및 담수화 용수) 중 뉴워터(NEWater)와 해수담수화 물은 모두 기후에 탄력적이지만 에너지 집약적인 수원이다.

따라서 PUB의 연구개발(R&D) 목표는 에너지 및 화학물질 소비는 물론 폐기물 발생을 줄이는 동시에 싱가포르의 수자원을 늘리고 수질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노력은 또한 국가의 증가하는 물 수요를 충족함에 따라 장기적으로 PUB의 운영비용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번 RFP(제안요청)를 위해 PUB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존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다음 R&D 영역에서 획기적인 기술을 개발하는 데 열중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물 수요는 경제 및 인구 증가로 인해 오는 2065년까지 거의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물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 소비량과 수처리 공정의 부산물인 슬러지 발생량도 증가하게 된다. 사진은 싱가포르 초아추강(Choa Chu Kang) 정수장 전경. [사진출처(Photo source) = 싱가포르 국립 수자원청(PUB) 페이스북(Facebook)]

■ 담수화, 물 재사용 및 사용수 처리  해수 담수화 및 NEWater 생산을 위한 시스템 차원에서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 하·폐수처리수의 경우, PUB는 에너지 자급자족을 달성하고 궁극적으로 에너지 양성 물재생 플랜트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폐기물 감소 및 자원 회수 물 및 사용된 수처리에서 슬러지 생성을 줄이려면 해수 염수 및 수처리장의 기타 폐기물 흐름으로부터 유용한 자원을 회수하고, 매립지로 보내지는 폐기물의 양을 줄인다. 해수 염수에서 회수된 자원, 금속 또는 광물은 산업적으로 가치가 있거나 PUB의 수처리장에서 화학물질로 사용 가능해야 한다.

■ 탈탄소화 PUB의 운영과 통합될 수 있는 기술을 사용하여 환경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 제거 및 활용한다.

■ 수질 및 보안 원수의 보호, 처리, 유통 및 하수도 수질 모니터링, 최근 우려되는 오염 물질 관리를 통해 높은 수질기준을 유지하고 국가 요구에 맞는 수자원을 보다 안전하게 확보한다.

RFP(제안요청)에는 두 가지 트랙(track)이 있다. 첫 번째는 위에서 언급한 R&D 영역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을 요청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솔루션을 상용화하거나 PUB 운영과 통합하려는 최종 목표를 위해 유망 기술을 번역하고 확장하는 데 중점을 두는 것이다. 최대 자금 조달 금액은 첫 번째 트랙과 두 번째 트랙에 대해 각각 150만 싱가포르달러(약 15억 원) 및 200만 싱가포르달러(약 20억 원)이다.

PUB의 최고 엔지니어링 및 기술 책임자인 팡치멍(Pang Chee Meng) 박사는 “기후변화와 물 수요 증가라는 과제에 대비하면서 PUB가 싱가포르 물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한 R&D 노력을 계속해서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면서 “최신 물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우리는 현재와 미래의 물 수요를 충족하면서 지속 가능하고 탄력적인 물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새롭고 확장 가능한 솔루션에 대한 제안을 받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현재 ‘RIE 2025(2025년 연구, 혁신 및 기업계획)’에 따라 PUB는 이전에 해안보호 노력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을 위해 물 순환에서 화학물질과 광물의 회수, 싱가포르의 수계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의 예측, 기술 등 예를 들어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레이더 위성(radar satellite) 및 이미지(imagery) 등의 사용과 같은 영역을 다루는 세 가지 보조금 요청을 시작했다.

획기적인 물기술 개발을 위한 제안서 제출 마감일은 2024년 2월 2일 오후 4시이며, 설명회는 2023년 11월 9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PUB의 워터허브(WaterHub)에서 열린다. [사진출처(Photo source) = 싱가포르 국립 수자원청(PUB) 페이스북(Facebook)]

여기에는 해수 염수에서 리튬과 광물 침전물을 회수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네트워크 수질변화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 모델 개발, 가뭄 발생 예측 능력 향상을 위한 새로운 데이터 모델 통합 기법 활용 등 총 8개의 프로젝트가 수주되었다.

이 RFP(제안요청)는 고등교육기관(Institutes of Higher Learning, IHL), 공공부문 기관, 싱가포르 또는 해외에 기반을 둔 민간부문 기관에 공개된다. 해외법인이 자금지원 자격을 얻으려면 싱가포르에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제안서 제출 마감일은 2024년 2월 2일 오후 4시(싱가포르 시간)이다. 설명회는 2023년 11월 9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PUB의 워터허브(WaterHub)에서 개최된다. 관심 있는 당사자는 다음 링크(https://go.gov.sg/rfp2301-infosession)를 통해 세션에 등록할 수 있다. 등록은 2023년 11월 2일에 종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