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LJN4y/btrENIyNoFV/HXDiykG1I1Yk7eYE5mlBO1/img.jpg)
이달 들어 간간이 비가 오긴 했지만 봄철 내내 가뭄이 장기화되며 주요 댐의 저수율은 여전히 저조하다. 식수와 농업용수 확보에 어려움을 겪자 일부 지역 수계에서는 낙동강물을 대체 공급하는 양을 늘리고 있다.
올해 들어 낙동강 주변 댐 유역의 평균 누적강수량은 백18밀리미터로, 지난해의 33%에 불과하다. 다목적댐인 안동댐과 임하댐, 군위댐, 영주댐 등 상당수 댐의 저수율도 지난해의 40~50% 수준이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농업 용수난을 겪는 지역을 중심으로 수리시설을 재정비하는 등 비상대책에 나서고 있다.
물 전문가인 부산대학교 녹색국토물관리연구소 소장이며,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신현석 교수는 “가뭄도 모두 같은 가뭄이 아니다. 전문적으로 가뭄을 정의할 때는 기상학적 가뭄과 수문학적 가뭄으로 분리하여 정의한다”면서 “기상학적 가뭄은 주로 강수량, 즉 비가 예년보다 많이 왔느냐 아니냐로 정도를 정의하다. 일반인들이나 언론에서 쉽게 말하는 가뭄이다”라고 설명했다.
신 교수는 “수문학적 또는 수자원 가뭄은 조금 더 복잡하고 실제적이다”며 “이는 강우가 내려 물을 가두는 댐이나 저수지, 그리고 하천에 물이 얼마나 찼는지, 그리고 이 물을 식수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가 필요한 도시나 농촌에 모자람 없이 공급되고 있는지를 가지고 평가한다”면서 “즉, 쉽게 말하면 실제로 비가 적게 내려 가물어도 용수공급이 원활한 지역은 가뭄이 아니라 안전한 지역이고, 비가 다른 지역보다 많이 와도 식수나 농수 등 공급이 부족한 지역은 가뭄피해가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다시 정의하면 수자원공급시설, 즉 댐, 저수지, 보, 하천, 빗물저류장, 농업용수시설 등이 미리 잘 구비가 되어 있는 선진국이나 지역은 똑 같이 바가 안와 가물어도 가뭄을 느끼지 못하고 피해도 적다는 것이다”며 “결론적으로 가뭄관리는 인간이 유사 이래 완벽히 해결하지 못하고 문명의 흥망성쇠를 결정 짖는 자연재해이나 이를 극복하고 투자하고 관리하는 국가는 100번 가뭄에 99번은 피해가는 것이고, 무지한 후진 국가는 늘 매번 가뭄에 하늘만 쳐다보다 망해가는 것이다”면서 “즉 가뭄관리는 지속가능한 국가 관리이고, 경제 관리며 또한 문명 관리의 핵심중의 하나이다. 또한 과학과 기술 그리고 경제력으로 준비하느냐 안하냐가 그 핵심일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최근 홍수와 가뭄을 관리하는 수자원(water resources)분야가 과도한 환경논리에 위축되어 제 기능을 못하게 될 것이 우려되는 것은 나만의 기우일까? 물 관리는 국가 관리이다. 태고 적부터…”라고 덧붙였다.
'물산업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환경신문] 암사망률1위 부산수돗물,식수전용댐 설치하자 (0) | 2022.06.17 |
---|---|
[문화일보] ‘文정부의 4대강 洑 해체’ 백지화 수순 (0) | 2022.06.16 |
[폴리스TV] 화학물질관리법 시행 8년…전국 정수장·취수장·배수지 사업장, 지역주민에 안전정보 제공 의무화 형식적 (0) | 2022.06.13 |
[폴리스TV]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진정 국민의 생명인 물을 책임지는 공기관인가? (0) | 2022.06.10 |
[폴리스TV] 영국 3개 대학 연구팀, 해수담수화 과정서 폴리아미드(PA) 막 통해 물분자 움직임 최초 연구 (0) | 2022.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