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산업 관련뉴스

고대영 부산시의원 "수처리 최상가용기술 도입, 물산업 세계화"..."변화.혁신"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 2021. 11. 13. 22:56

부산시의회 고대영(민주당.영도1) 의원이 정수장의 정수시설 선진화를 촉구하고 변화와 혁신에 나서야한다고 주장했다.

 

고 의원은 22일 열린 제298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 시정질문을 통해 "30년이 지나도록 해결하지 못한 부산 수돗물의 실상을 알리고 대혁신을 통해 수도꼭지에서 바로 물을 마실 수 있는 수돗물을 공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부산시는 안전한 수돗물을 위해 효과가 미미한 광역상수도 개발이나, 검증되지 않은 강변여과수 개발로 세금을 낭비하지 말고, 수처리 최상가용기술을 도입하는 등 물관리 정책에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고 의원은 부산수돗물 혁신에 대해 "부산시가 물산업 세계화와 실시간 공개행정으로, 시민과 함께 부산수돗물을 생산하겠다는 발상전환 만이 수돗물 문제를 완벽히 해결 할 수 있다"며 해외전문가의 방안을 소개했다.

 

먼저 ▲지하수와 빗물 등 맑은 수자원을 확보하여, TOC 1ppm 이하와 미량유해물질 불검출 수준의 안전한 부산수돗물을 생산 할 수 있다. 지하수와 빗물은 물량이 적기 때문에 식수 전용에 한정하는 등 관내 하수처리수를 대대적으로 재이용하여 수돗물생산을 파격적으로 줄여야 한다. ▲TOC 1ppm 이하 생산과 미량유해물질 불검출 수준 제거하는 최상가용기술을 도입하여 물산업 세계화에 나서야 한다는 등이다.

 

고 의원은 "수처리 현장의 눈속임은 책임을 철저히 물어야 한다"며 "미량유해물질 처리에 있어 오존의 무용지물과 활성탄의 처리효율 미미함, 사용주기 50% 손절, 전량 수입 高價품 인데 가격 인상 등 경제성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도 하수처리장 TOC 도입에 오존을 적용하겠다는 것은 부산시가 1980년대식 수처리 기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부산시에 선진 수처리 전문가 부재현상을 말하고 있다. 하수처리수가 주변 물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하수처리수 고도화 및 재이용 활성화 대책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고 의원은 "낙동강 수계의 강변여과수 개발은 미량 유해물질 처리에 불충분하다는 한국개발연구원 KDI 와 부산연구원 BDI 보고서가 상존한다"며 "또한 창원, 김해 강변여과수 개발사업에서 보듯 미량유해물질이 원수에서 검출되고 물량부족으로 사회문제가 되어도 계속 추진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낙동강 수계는 구미 산단 등 10,375개소의 유해물질 배출업소로 인해, 전국 최고 나쁜 수질 상황으로 미량 유해 물질 처리가 불충분하여 강변여과수 개발은 어렵다는 게 지질전문가의 의견"이라고 강조했다.

 

고 의원은 "부산시는 삼랑진의 터널식 강변여과수 개발사업 용역에 4억원을 추경 편성하여 수돗물에서 검출되는 미량유해물질 불감증을 여실히 보여 주고 있다"며 "더 큰 문제는 갈수기 3개월은 황강 하류와 창녕 강변여과수에서 원수를 공급받을 수가 없다는 사실이다. 국내기후 여건상 갈수기는 대략 3개월 이상 가며, 그 기간에는 해당지역의 물 부족으로 전국최고 나쁜 낙동강 물을 다시 사용해야 하므로 구조적인 부실을 안고 있다"고 꼬집었다.

 

고 의원은 부산수돗물 안전을 위한 단기 대책으로 낙동강 유역 관련기관과 공조체계를 구축하여, 낙동강 상류의 특정수질 유해물질 배출 사고 등 비상상황에 따른 '실시간 현황 파악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부산수돗물 안전을 위해 취수원과 부산시 정수장별 수돗물 TOC 농도를 실시간 공개해야 한다"면서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시의 물관리 정책도 빗물, 재이용수 등 대체수자원을 활성화 하는 물중립 전략을 최우선 정책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고 의원은 "낙동강 본류 오염원을 원천 차단하는 무방류 최상 가용기술을 확보해 세계 최고의 수돗물 안전 모범도시로 성장해야 한다"며 "이를 계기로 세계적 검증기관 미국 NSF(위생재단), FSVP(해외공급자 검증프로그램) 인증을 취득해, 선진국 시장 수출과 시민들이 자랑하는 부산수돗물로 거듭 태어나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부산수돗물 정책에는 변화의 바람이 필요하다"며 "미국 뉴욕주와 같이 수돗물 기준치를 대폭 강화하여, 수도꼭지에서 바로 마시는 안전한 수돗물 공급이 시민의 기본권이며, 생명권"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덧붙여 고 의원은 "화명정수장의 초고도 처리시설 설치에서 부터 선진국 수출용 랜드마크 시설 설치 등 부산시 정수장의 정수시설 선진화를 촉구하고 변화와 혁신에 나서야 한다"고 거듭 요구했다.

 

이외에도 고 의원은 부산시민이 수돗물에 대한 불신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가정에서 수도꼭지에서 바로 마시는 시민들은 극소수"라며 "그 이유는 최근 가장 민감한 독극물인 과불화화합물, 니트로사민류, 1,4-다이옥산 등 미량유해물질이 부산수돗물에서 검출되어도 부산시 정수장의 고도정수처리 시설에서는 제거가 안된다"라고 했다.

 

이어 "지금도 미량유해물질 제거에 수백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15~50% 처리효율의 구식기술을 도입해도 책임소재를 묻는 정상적인 구조가 아니다"라며 "이런 상황에서 부산시는 치명적 독극물의 완전 제거라는 본질은 외면하고, 경계 발령 보고체계 조정만 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이라고 비판했다.

 

고 의원은 "민간이 생산을 주도했다면 벌써 망하고 관계자들은 뿔뿔히 흩어져 부산수돗물 가까이에 얼씬도 못했을 것"이라면서 "수돗물 생산은 공무원이 독점하고 주도하기에 공무원들이 혁신하지 않으면 수돗물산업은 결국 망할 것"이라며 공무원의 대혁신을 재차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