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상수도 보급률 99.4%, 농어촌 보급률 95.9%
![](https://blog.kakaocdn.net/dn/sKmAu/btrUV4myqeC/DlfWSBcl3n4cPro8U2YukK/img.jpg)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우리나라 상수도 현황을 한눈에 볼수 있는 '2021년 상수도 통계(이하 상수도 통계)'를 공개한다.
상수도 통계는 1년간의 지자체별 상수도 보급현황, 시설현황, 1인당 물 사용량, 수돗물 생산원가 및 수도요금 등 수도시설 및 운영관리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통계로, 수도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수도 서비스에 대한 국민이해를 돕기 위해 매년 제공되고 있다.
2021년 상수도 통계 조사 결과, 급수인구는 5천239만7천여 명이며 전국 상수도 보급률은 99.4%로 지난 10년간 꾸준히 상승했다.
농어촌지역 상수도 보급률은 2012년 88.2%에서 2021년 95.9%로 상승하면서 지난 10년간 전국 평균 보급률보다 빠르게 증가하여, 농어촌과 도시 지역의 상수도 보급 격차가 지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7YB0k/btrUSyIBTrU/CnBO2jTRdE39WAwKMzV790/img.jpg)
전국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총량은 67억6천500만㎥이다. 이 중 수도 요금으로 징수하고 있는 유수수량은 58억1천300만㎥로 유수율 85.9%(전년 대비 0.2%p 증가), 누수율은 10.2%(전년대비 0.2%p 감소)이다.
※ 유수율 및 누수율에 포함되지 않는 공공수량 등이 있어, '유수율 + 누수율 ≠100'
누수율은 최근 10년 중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이는 2017년에 시작한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 효과가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https://blog.kakaocdn.net/dn/begT2o/btrUYpqbl5u/XJmB5yqXx8oXgqkFcLuYL0/img.png)
특히, 노후 상수관로 정비 사업이 준공된 11개 지자체의 2021년 평균 누수율은 사업 추진 이전 2016년과 비교하여 10.5%p 감소했다.
누수율 개선으로 인해 감소된 누수수량을 2021년 생산원가로 환산하면 301억 원이다. 이는 노후 상수관로 정비공사에 투입된 총사업비 1천541억 원을 빠르면 6년 내 회수할 수 있는 규모의 절감액이다.
![](https://blog.kakaocdn.net/dn/6FqRq/btrUTZlEb4E/jEbjoqRWYC5AKR1Rd4rNk1/img.png)
국민 1인당 하루 수돗물 사용량은 302ℓ로 전년(295ℓ) 대비 다소 증가했다.
전국 수돗물 평균 요금은 1㎥당 720.8원으로 전년(718.9원) 대비 0.3% 증가했다.
특·광역시 평균 요금은 696.3원으로 대체로 전국 평균보다 낮은 반면, 도(道)의 평균 요금은 861.6원으로 높은 편이었다.
'2021년 상수도 통계'는 12월 28일부터 국가상수도정보시스템(www.waternow.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재현 환경부 물통합정책관은 "상수도 통계는 상수도 정책 추진의 기초가 되는 자료이며, 앞으로도 신뢰도 높은 통계를 바탕으로 모든 국민들이 안심하고 수돗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수도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물산업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터저널] WMO, “2022년은 기후변화의 명백한 징후·영향 심화되었다” (0) | 2022.12.30 |
---|---|
[워터저널] WHO·유엔 워터, “안전한 식수·위생 보장하기 위해 신속한 조치 필요” (0) | 2022.12.30 |
[e미디어] 전 세계 모든 강이 약물 잔류물로 오염, 25%는 활성 물질 위험 농도 (0) | 2022.12.29 |
[프레시안] "변기 내릴 물도 없다"…도시는 모르는 지역의 '물 이야기' (0) | 2022.12.29 |
[폴리스TV] 부산시, 「기후위기시계」 준공 기념식 개최 (0) | 2022.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