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광주전남지역 물 부족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기후 위기 대응과 물 부족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조선대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은 오는 22일 오후 2~4시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 세미나실에서 온·오프라인으로 '기후 위기의 영향과 물 무족 문제 대응 및 적응을 위한 대토론회'를 연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전 지구적인 기후 위기의 다양한 징후들 중 가뭄으로 인한 농작물 생산량 저하와 물 부족 문제가 재난 수준으로 부상하고 있는 현재, 광주전남지역의 물 부족 문제의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는 한편, 그에 대한 대응 및 적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전문가들은 주제발표 및 집중토론을 통해 기후 위기 대응과 적응 및 물 부족 문제 해결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진행은 이석현 조선대 교수가 맡았으며 강희숙 조선대인문학연구원장의 개회사로 토론회는 시작된다.
주제발표 시간에는 이현정 녹색정치lab '그레'의 이현정 소장이 '기후 위기의 영향: 폭염, 가뭄, 식량 위기 및 기후 난민'에 대해 의견을 나누며 조기안 초당대 교수는 '물 부족 현상의 실채와 대응·적응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이어 정영수 조선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되는 집중토론에서는 박준열 광주시 상수도본부 부장의 '기후 위기와 물 부족 문제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대안', 김진우 수자원공사 부장의 '가뭄 대응 방안으로서 수자원 확보 및 관리 방안', 백기영 환경부 국가환경교육지원단의 '생활용수 부족에 대한 일상생활 물소비문화 개선 방안', 김동석 국립외교원 교수의 '식량 안보 및 기후 난민에 대한 지속 가능한 해결방안' 등에 대해 들을 수 있다.
'물산업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터저널] ‘영원한 화학물질’ PFAS 파괴방법 개발 (0) | 2022.12.20 |
---|---|
[연합뉴스] "바닥 드러난 저수지 볼 때마다 한숨만 나와요" (0) | 2022.12.20 |
[연합뉴스] 저수율 절반으로 '뚝'…시·도간 물 경쟁도 심화 (0) | 2022.12.20 |
[물산업신문] 부산시, 하수구 및 하천 생활악취 개선...주요원인인 황화수소 감소 (0) | 2022.12.19 |
[메일경제] 물산업과 인공지능의 만남 … 대전, 세계적 물순환 도시로 우뚝 (0) | 2022.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