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산업 관련뉴스

[노컷뉴스] 부산도 나눠 먹자는 '경남 물'…해수담수화 추진 제안 '눈길'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 2022. 11. 2. 09:05

진상락 경남도의원 "취수원 이전 비용 줄이고 지역 산업 성장 이끌 수 있어"

진상락 도의원

낙동강 유역 안전한 물 공급 체계 구축 사업이 추진될 경남 합천·창녕 등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해수담수화'가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공급은 물론 취수원 이전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제안이 나왔다.

 

국민의힘 진상락(창원11) 경남도의원은 1일 도의회 5분 자유발언에서 이렇게 밝히며 "해수담수화 사업이 깨끗한 식수 공급과 지역 산업 성장을 이끌 수 있다"고 강조했다.

진 의원은 "현재 경남 중동부 지역의 창원·김해·양산의 먹는 물 취수 수질은 3등급에 해당돼 도민들은 녹조에 독성은 없는지, 깔따구 유충이 없는지 등을 걱정해야 할 안타까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이에 환경부는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 체계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합천 황강 복류수(45만t), 창녕강변여과수(45만t)를 개발해 경남(48만t·우선 배분)·부산지역(42만t)에 공급하는 것으로, 정부 사업으로 확정됐다. 그러나 지역 주민들은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진 의원은 "합천댐 물은 농업용수로 부족할 정도로 가져갈 물이 없고, 창녕 강변여과수는 1년간 시범 운영한 결과 농사를 황폐화하는 것으로 결론이 나 주민들이 결사반대하고 있다"며 "수 십 년간 취수원 이전 논란이 해결책도 없이 언제까지 계속할 것이냐"고 반문했다.

이에 진 의원은 "취수원 이전 사업보다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며 '해수담수화 사업'을 경남도에 제안했다.

그는 취수원 다변화 사업인 황강 복류수와 창녕 강변여과수 개발에 드는 사업비는 1조 7613억 원으로 추정되지만, 경남에 필요한 수량인 48만t 공급과 비슷한 용량인 사우디아라비아 해수담수화 플랜트 공사 계약 금액은 약 8천억 원으로, 적은 예산으로 추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해수담수화 시설을 경남에 구축하면 지역 기업의 관련 기술 축적과 경쟁력 확보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고 했다.

진 의원은 "해수담수화 기술과 부품 산업의 대외 산업 경쟁력을 높여 관련 부품 기업과 산업 전반에 파급 효과를 일으키며 신규 일자리 창출과 경남의 미래 먹거리를 창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