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나 공원 곳곳에 음수대가 설치돼있지요. 어린이들도 목마를 때 많이 이용하는데, 최근 음수대 제품 가운데 한 종류에서 6가 크롬과 납을 비롯한 1급 발암물질이 기준치를 넘겨 검출된 사실이 S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JnWE0/btrO9QaESC8/c3uUMOVMv1LWQs7OQbQldK/img.jpg)
그런데 점검을 실시한 조달청은 문제의 음수대를 납품받은 학교나 공공기관에 이런 결과를 알리지도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서울의 한 어린이공원.
음수대를 이용하는 어린이들이 눈에 많이 띕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jrk6I/btrPbCa0oJC/EiyoKtbx5tVshKkZr2BuIK/img.jpg)
한 초등학교 운동장에도, 시민이 많이 찾는 한강공원에도 같은 제품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음수대 제품, 지난 8월 조달청 품질점검에서 '치명 결함' 판정을 받았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WRM4H/btrPcdWupvh/axXKcshwJsiYAXUckKeDkK/img.jpg)
조달청이 한국화학종합시험연구원에 의뢰해 시험한 결과, 이 제품을 거쳐 나온 물에서 6가 크롬은 수도법 시행령 기준치의 약 5배, 니켈은 약 7배가 나왔고, 납도 기준치 이상 검출됐습니다.
6가 크롬과 니켈은 세계보건기구가 분류한 1급 발암물질입니다.
지난 4년 동안 이 제품이 납품된 곳만 29곳, 제조사의 다른 음수 관련 제품들까지 합치면 273곳에 달합니다.
그런데 조달청이 내린 조치는 제조사에 대한 3개월 거래 정지가 전부였습니다.
발암물질 검출을 확인한 지 두 달이 지났지만, 납품받은 학교나 기관에는 검출 사실을 알리지 않았습니다.
문제는 또 있습니다.
해당 음수대 부품 중 중금속 검출 원인일 가능성이 큰 건 금속 재질의 수도꼭지나 소켓인데, 이 부품들은 제조사가 생산한 게 아니라 납품받은 것들이었습니다.
정확히 어떤 부품에서 발암물질이 흘러나왔고, 그 부품이 다른 회사 제품에도 쓰이진 않았는지 확인이 필수적입니다.
그럼에도 조달청은 정확한 원인 파악도, 추가 제품 조사도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이건 약간 의무 방기인 거 같아요.
국가가 해서는 안 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제가 나왔다고 하면 그 모델 전체를 실태 조사를 다 하게 해야 되는 건 너무 당연한 거 같고.
진선미/민주당 의원
Q. 뒤늦게 조사 약속?
조달청을 통해 납품되는 음수대 제조사가 한 14곳 정도가 전국에 있습니다. 이 가운데 한 회사 제품을 조달청이 품질 조사 의뢰를 한 겁니다.
Q. '발암물질 검출' 음수대…조달청 설명은?
저희도 그 부분을 착안해서 취재를 시작했었는데요. 조달청은 처음에는 관련 규정이 따로 없어서 발암물질이 검출된 사실을 납품받은 학교나 그리고 공공기관에 알리지 못했다, 이렇게 밝혔습니다. 하지만 SBS 취재가 시작되자 조치가 미흡했다는 걸 인정하고 그리고 당장 내일이라도 관련 사실을 이제 각 납품받은 기관과 학교에 알리겠다고 밝혀왔습니다. 또 회사 제품의 어떤 부품이 문제였는지, 그리고 그 부품이 혹시 문제가 있다면 다른 회사에도 혹시 쓰이지는 않았는지 이런 부분까지 함께 조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또 조사를 바탕으로 문제가 있는 음수대들을 전부 교체하겠다고 밝혀 왔습니다.
Q. 조달청 공급 다른 물품은?
조달청은 공공기관에 필요한 물품을 공급하는데 이 중에서 음수대나 정수기와 같은 안전이나 위생과 관련된 제품들을 '안전관리물자' 이렇게 지정해서 품질 점검을 연간 계획을 세워서 실시합니다. 취지는 좋죠. 하지만 이번처럼 문제점이 드러나도 조달청이 적극적으로 조치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이번에 드러났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WgSCa/btrPa9NxoEW/L4qitIpbSkMKKiWa6RfKOK/img.jpg)
지난 2020년에는 학교 운동장이나 놀이터에서 어린이들이 쓰는 목마 같은 흔들 놀이기구, 그리고 시소에서 납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된 적 있었습니다. 이것 역시도 치명 결함으로 분류가 됐는데, 이때도 학교 등에 통보는 없었고 제조사에 대해서도 거래 정지 외에는 별다른 조치가 없었습니다. 규정이 없어서 그랬다는 게 조달청의 해명인데, 이렇게 매번 일이 터지고 나서 수습에 나설 게 아니라, 정부 차원의 종합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물산업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프리존] 2030부산세계박람회 부지, 침수대책 없다 (0) | 2022.10.24 |
---|---|
[오마이뉴스] 가정집 수도필터 '녹색' 변색 논란... "녹조독성" - "문제없다" (0) | 2022.10.21 |
[폴리스TV]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GK글로벌코리아/사단법인끌림 업무협약 체결...물 절약을 위한 소중한 ‘동행’ (0) | 2022.10.21 |
[국제신문] '물의 도시' 부산 바다·하천관리 가이드라인 마련 (0) | 2022.10.20 |
[폴리스TV]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낙동강 녹조 대책 취수탑 기본구상 용역 착수 (0) | 2022.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