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위험성 탓에 유사시 인명사고 가능성이 큰 '염소가스(액화염소)'를 여전히 수돗물 소독제로 쓰는 지자체는 용인시(6월 22일자 1면 보도=비용 아끼려 '유독물질' 정수장에 푼다는 용인시) 뿐만이 아니다. 아직 염소가스를 사용하는 경기도 내 절반 가까운 시군들도 유독물질 등 규제를 받지 않아 위험성이 낮은 대체 소독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경기도 내 자체 또는 통합 정수장을 운영하는 27곳 지자체 중 14곳(수원, 용인, 성남, 평택, 안산, 구리, 남양주, 파주, 안성, 광주, 포천, 여주, 가평, 양평)은 오랜 기간 사용한 염소가스를 대체 소독제인 차염(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이미 변경했거나 바꾸고 있다.
위험성 높아 사고 가능성 크지만
도내 27곳중 14곳만 '차염' 변경
안양·부천·광명·과천 등 '그대로'
염소가스는 가정에 공급되는 수돗물의 살균·산화 등 역할을 하는 소독제로 국내 처음 정수처리시설이 도입될 당시부터 사용돼 왔다. 하지만 극히 소량의 누출에도 피부나 장기에 염산을 생성시켜 화상 또는 사망에 이르는 인명사고를 낼 뿐 아니라 관련시설 배관을 부식시킬 정도로 독성이 과다하게 높은 문제가 꾸준히 제기됐다.
이에 화학물질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등 여러 법률을 적용받을 만큼 위험성이 크고 그에 따라 강화하는 규제에 맞춰 갖춰야 하는 안전시설·인력 등 비용이 증가하다 보니 관할 지자체들이 상대적으로 염소 농도가 낮은 차염으로 소독제를 대체하고 있다.
다만 비용 문제 등으로 아직 변경 계획이 없거나 대체 소독제 사용이 지지부진한 지자체들도 있다. 의정부, 안양, 부천, 광명, 동두천, 과천, 시흥, 군포, 의왕, 하남, 이천, 김포, 연천 등 13곳 지자체는 여전히 기존 염소가스만을 소독제로 쓰고 있다.
"아직 계획 없지만 향후엔 교체"
시판차염도 유독물질 고시 앞둬
그중 한 지자체 관계자는 "정수장 규모에 따라 소독제 단가차이는 물론 차염으로 대체 시 투입해야 하는 시설 및 운영 비용이 만만치 않다"면서도 "아직 계획은 없지만 과거와 달리 정수장 주변에 주거시설이 많이 들어서고 규제도 강화해 향후엔 대체 소독제를 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차염 중에서도 시중에 농도 5% 또는 12% 수준으로 유통되는 '시판(공장제조)차염'은 위험성 문제가 제기된다.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 농도 2.5% 이상 차염을 유독물질로 보고 지난 2020년 관련 심사를 마친 뒤 현재 신규 유독물질 지정 고시를 위한 절차를 진행하고 있어서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유독물질로 지정되면 업계에 큰 영향을 미쳐 관련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지정을 위한 심사는 이미 마친 상태라 이른 시일 내 고시를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물산업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리스TV]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손희종 연구사 「제32회 과학기술 우수 논문상 수상」 (0) | 2022.06.29 |
---|---|
[폴리스TV] 행안부, 장맛비 대비 전국 일제점검 7만9천495건…정비 2천887건실시 (0) | 2022.06.28 |
[경인일보] 비용 아끼려 '유독물질' 정수장에 푼다는 용인시 (0) | 2022.06.24 |
[국제신문] 밀양댐 녹조로 양산 일부 지역 수돗물 악취 민원 (0) | 2022.06.23 |
[글로벌환경신문] 물부족국가 재생에너지 생산, 댐 더 지어 물공급과 수력 비중 높여야 (0) | 2022.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