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은 한반도에서 중요한 강 중 하나로, 강원도부터 대구, 경북, 부산, 경남까지 도시와 공단, 농촌 지역을 관통하고 있다.
그러나 낙동강 유역에 소재하고 있는 99개 공단 등에서 1차 폐수 처리한 오염물질이 그대로 낙동강에 유입되어 수질은 갈수록 나빠지고 지속적으로 녹조가 창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환경당국과 전문가들은 낙동강의 수질관리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환경부는 낙동강 녹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시행하고 있다
첫째, 하수처리장 방류기준 강화이다. 하수처리장에서 오염물질을 더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방류기준을 강화하여 낙동강의 수질을 개선하고 있다.
둘째, 낙동강변 야적 퇴비 조사 활동이다. 농촌 지역에서 발생하는 퇴비를 관리하고, 낙동강변에서 퇴비 유출을 줄이기 위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셋째, 4대강 보 개방에 대한 입장 변화이다. 4대강 사업이후 낙동강 보를 개방했으나 녹조가 창궐하자, 날씨 탓으로 입장을 바꾸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낙동강의 수질을 개선하고 녹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리와 협력이 필요하다고 한다.
그러나 이 같은 방안만으로는 낙동강 수질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는 문제다. 그 이유는 낙동강 유역은 99개 공단이 산재하고 있어 한강유역 대비 산업폐수 발생량이 4.7배나 되지만 수질보전, 개선 등을 위한 입지규제 면적은 절반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구조적으로 크고 작은 수질오염사고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셈이다. 이 때문에 지역주민들은 원칙적으로 식수 불안에 더는 떠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점에는 동의하고 있다.
하지만 농업용수고갈, 상수원보호에 따른 각종 규제강화 등 낙동강을 둘러싼 각 지역 간의 이해관계가 워낙 첨예해 부산시가 여과수 공급을 위한 해결책을 찾는 일은 그리 녹록하지 않다.
낙동강에서 하루 평균 취수하는 생활용수량은 약 462만㎥/일에 달한다. 이 중 낙동강 본류 하천수가 265만㎥/일로 57%를 차지한다.
식수를 낙동강 본류에 의존도는 부산의 경우 생활용수 본류 의존율이 91%나 된다(2017년 기준). 대구는 70%, 울산 58%, 경남 53%, 경북 22% 등이다.
이렇게 첨예하게 대립한 물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 2018년 4월경에는 국무총리와 국무조정실장, 환경부장관, 대구시장, 울산시장, 경북지사, 구미시장 등이 나서 ‘낙동강 물 문제 해소를 위한 상호협력 업무 협약’을 맺고 해결책을 찾기로 했다.
낙동강 본류 수질개선 방안으로 △영주댐 상류, 창녕함안보등 비점오염원이 증가하는 지류를 대상으로 저감시설 설치 △오염물질 배출 최소화 기준을 적용한 통합허가제 조기 도입 △구미 공공하수처리장과 대구 성서산단 공공폐수처리시설에 폐수 무방류시스템 도입 검토 △대구 금호강과 경남 남강에 총유기탄소(TOC)수질 총량제도시범 도입 등을 제시했다.
그러나 낙동강 수질문제의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번 기회에 정부는 낙동강 강변을 따라 상류에서부터 하류까지 하수관로를 설치하여 하류지점인 부산에 종합하수종말처리시설을 설치하여 하수처리 방안을 제안한다.
이럴 경우 지금처럼 오염된 낙동강 본류의 수질은 더 나빠지지 않을 것이며, 낙동강 본류 물을 농업용수나 공업용수로 사용하고, 댐 관리정책을 전환하여 식수로 전환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도 좋은 방안 중 하나라고 본다.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경제〕 핵폐기물 문제 뚫리나…스위스 "핵변환 기술, 세계 최초 승인“ (0) | 2024.05.27 |
---|---|
친환경 수돗물 현장제조 차염 소독설비…더 안전한 물을 제공한다. (0) | 2024.05.07 |
댐 관리정책의 식수 우선정책으로의 전환 필요성에 대한 제안 (0) | 2024.05.03 |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 부산시에 “물융합클러스터 조성·동부산권 산업단지공업용수공급·2026년 워터코리아전시회 개최” 제안 (0) | 2024.05.02 |
〔기고〕 부산시의 식수원 문제와 해결방안은? (0) | 2024.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