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인공지능(AI) 홍수예보 전문가 시연회 개최, 정확도 등 점검
인공지능 기술로 홍수 사전분석, 홍수예보관과 교차 검증
![](https://blog.kakaocdn.net/dn/bdjnZg/btsEf2sd7uQ/Kf7Uc4WKEsmsMEaqQL0qlk/img.jpg)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1월 30일 오후 한강홍수통제소(서울 서초구 소재)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홍수예보체계 전문가 시연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시연회는 한화진 환경부 장관 주재로 열리며, 학계와 연구기관의 홍수 및 방재 분야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환경부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AI) 홍수예보체계를 올해 5월부터 전국 대하천 본류 중심으로 운영 중인 75개 홍수특보지점을 비롯해 지류·지천을 포함한 223개 지점에도 확대해 적용할 계획이다.
이날 시연회에서는 약 3배로 대폭 늘어나는 홍수특보지점에 대해 인공지능 홍수예보가 10분마다 홍수 발생 여부를 분석하여 미리 알려주고, 홍수예보관이 이를 검증하여 홍수특보를 발령하는 새로운 홍수예보체계를 시연했다.
환경부는 전문가와 함께 인공지능 학습자료 및 구조화(모델링)의 적합성을 검토하고, 홍수 예측의 정확도를 살펴봤다. 또한, 올해부터 늘어나는 홍수특보지점을 감안하여 특보 발령·전파 체계의 자동화 및 간소화 시 보완할 점 등을 논의했다.
![](https://blog.kakaocdn.net/dn/zteKR/btsEfuWDKEG/qWkm2UPf8CjqBnfKbW5rWk/img.jpg)
한편, 환경부는 올해 5월부터 홍수특보지점 인근 국민에게 본인 위치 및 침수우려지역 정보를 안전 안내 문자로 발송하고, 7월부터 홍수특보지점 부근에 진입하는 차량 운전자에게 내비게이션으로 안내하는 등 수요자 맞춤형 홍수정보도 제공할 계획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이번 시연회는 올해 처음으로 운영되는 인공지능 홍수예보에 앞서 모의로 진행해보고, 개선사항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며, "향후 지자체 설명회 및 합동 모의훈련 등을 통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될 수 있도록 차질없이 준비하고, 올해 5월부터 안정적으로 인공지능 홍수예보체계가 운영되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물산업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타임즈] 부산광역시 물 산업, 강력드라이브 (0) | 2024.02.01 |
---|---|
[환경타임즈] 녹색융합클러스터, 2028년까지 전국 10개소로 확대 (0) | 2024.02.01 |
[워터저널] 2024년 환경부 주요정책 추진계획 공개 (1) | 2024.02.01 |
[비전21뉴스] 환경부, 전국 환경시험·검사기관 한자리에 모여 정도관리 발전 방향 논의한다 (0) | 2024.02.01 |
[환경경영신문] 취‧정수장 화학 안전 ‘에어커튼’ 서울 아리수 최초 도입-염소 차단과 더불어 오존,차염 발생 분야도 지속 연구해야 (0) | 202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