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산업 관련뉴스

[국제신문] 우리나라 연안 해수면 매년 3.03㎜씩 상승…10년간 1.3배 빨라졌다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 2023. 12. 20. 09:42

국립해양조사원 발표… 34년 동안 평균 10.3㎝ 높아져

동해안 연 3.44mm·서해안 연 3.15㎜·남해안 연 2.71㎜
우리나라 연안 해수면이 매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21개 연안 조위관측소의 해수면 높이 자료 분석을 통해 지난 34년(1989년~2022년) 동안 해수면이 매년 3.03㎜씩 높아지면서 평균 10.3㎝가량 상승했다고 밝혔다. 해역별 평균 해수면 상승률은 동해안이 연 3.44mm로 가장 높았다. 서해안은 연 3.15㎜, 남해안은 연 2.71㎜이었다. 관측지점별로는 울릉도가 연 5.31㎜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군산은 연 3.41㎜, 포항은 연 3.34㎜, 보령은 연 3.33㎜, 속초는 연 3.23㎜로 파악됐다.


국립해양조사원은 또 지난 30년(1993년~2022년)간 평균 해수면 상승률(연 3.41㎜)과 최근 10년(2013년~2022년)간 평균 해수면 상승률(연 4.51㎜) 비교 결과, 최근 10년간 약 1.3배 정도 해수면 상승률이 높아졌다고 언급했다. 이는 최근의 해수면 상승 속도가 이전보다 빨라지고 있다는 의미다.

국립해양조사원은 기후변화 영향을 확인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인 ‘해수면 장기 변동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2009년부터 매년 연안 조위관측소 수집자료를 통계화해 해수면 상승률을 공개하고 있다. 관련 자료는 내년 상반기 중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www.khoa.go.kr/oceangrid)에 공지된다.

김재철 국립해양조사원장은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에 대한 장기 분석자료가 연안관리 및 기후변화 대응 정책 추진에 중요한 기초 정보로 활용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해수면 변동 분석 연구를 차질 없이 수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