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G7 등 36개국 참여 다자간 탄소중립 협의체 공식 출범
![](https://blog.kakaocdn.net/dn/IgfjR/btsBk9VKz2L/dER4gUu41adkKy8lPW2jV1/img.jpg)
두바이에서 개최 중인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11월 30일~12월 12일) 계기, 기후 클럽(Climate Club)이 우리나라 조홍식 대통령 특사, 숄츠 독일 총리, 폰데어라이엔 EU집행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12월 1일 공식 출범을 선언했다고 밝혔다.
‘기후 클럽’은 파리협정의 효과적인 이행과 글로벌 탄소중립 달성을 가속화하기 위한 협의체로 기후변화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36개의 선진국과 개도국이 참여중이다.
※ 창립 회원국: 우리나라, G7(독일, 미국, 영국, 이탈리아, 일본, 캐나다, 프랑스), 칠레,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케냐, 모로코, EU 등 총 36개국 (www.climate-club.org)
특히, 동 기구는 전 세계 에너지 체계 내 탄소 배출량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산업부문에서의 탈탄소화를 중점 추진 중이며, 산업공정에서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저탄소 기술개발 촉진, 상호인정, 국제표준 형성 등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한다는 점에서 우리 정부 및 업계가 중점 추진 중인 무탄소연합(Carbon Free Alliance)과도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아울러, 기후 클럽이 구축을 제안한 ‘매칭 플랫폼’을 활용해 산업 탈탄소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개도국의 수요와 다양한 정부, 국제기구, 민간의 지원을 중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선진-개도국 간의 협업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되며, 우리 기업들이 새롭게 확대되는 청정경제 시장에서 사업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후클럽은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감축 정책 확산을 위해 국제사회 논의를 연계하여 기후행동을 가속화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서는 동 기구를 통해 회원국이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고, 각국의 탄소중립 정책을 조율하면서, 표준에 대한 국제적 합의를 구축함으로써, 개별 국가의 일방적인 환경정책 도입에 따른 보호무역주의적 조치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물산업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코타임스] ‘특정도시하천 유역’ 지정 극한강우에 체계적 대응 (0) | 2023.12.08 |
---|---|
[MBC] "전국 10곳에 댐 짓겠다"‥4대강 갈등 재연될까 우려 (0) | 2023.12.08 |
[워터저널] “지표수·지하수 보호하면서 인간의 기본적인 물 요구량 충족시킬 방법 연구” (0) | 2023.12.05 |
[워터저널] 한국, 제28차 기후변화총회 의장국 주도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이니셔티브에 동참 (0) | 2023.12.05 |
[환경경영신문] 서울시 상수도 정수장 현대화 사업 본격 가동-강북2정수장 2700억원,광암정수장 2062억원 투자 (0) | 2023.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