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그리피스대 연구팀, 블루워터를 위한 안전하고 정의로운 지구 시스템 경계 내에서 생활하는 방법 연구
강 유역 내서 지표수만으로 인간 요구 충족할 수 있는 방법 조사 및 가능하지 않은 경우 사용 가능한 지하수의 양이 얼마나 필요한지 추정
『네이처 서스테이너빌리티(Nature Sustainability)』 11월 16일자에 연구논문 발표
![](https://blog.kakaocdn.net/dn/N8DNT/btsBrMkxWVv/alwxBk2XkXObMbyXpaKkk1/img.jpg)
“기후변화와 농업 및 물공급의 남용으로 인한 지하수 수위 감소로 인해 토양 침하, 지하수 의존 생태계 악화, 지표수 흐름 감소 및 물 추출 비용 증가가 발생해 “해안 대수층에 바닷물이 침입하고 지하수 오염으로 인한 수질이 저하되면서 가정용 및 농업용 물 가용성도 감소”
호주 브리즈번에 위치한 그리피스대학교(Griffith University) 연구팀이 주도한 연구보고서에서는 사람과 지구를 보호하기 위해 정의된 지표수와 지하수(blue water, 푸른물)에 대한 안전하고 공정한 지구 시스템 경계(Earth System Boundaries, ESB)를 초과하지 않고 인간의 기본적인 물 요구가 충족될 수 있는지에 대해 평가했다.
영국의 네이처 포토폴리오(Nature Portfolio)에서 발행하는 월간 피어 리뷰 과학저널인 『네이처 서스테이너빌리티(Nature Sustainability)』 11월 16일자에 발표된 이 연구보고서에서는 강 유역 내에서 지표수만으로 인간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가능하지 않은 경우 사용 가능한 지하수의 양이 얼마나 필요할지 추정했다.
![](https://blog.kakaocdn.net/dn/n89qG/btsBqAZdWJY/0Ezvyo57XGFsWL4Y2QN2A0/img.gif)
호주 강연구소(Australian Rivers Institute)의 수석 연구원이자 이번 연구논문의 수석저자인 벤 스튜어트-코스터(Ben Stewart-Koster) 박사는 “푸른물((blue water, 지하수)의 흐름은 오염된 물을 정화하고 지하수 대수층을 재충전하는 것을 포함하여 전 세계 지역사회에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의 기초를 제공한다. 어업과 양식업도 담수의 흐름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전 세계 해안 및 하구 어획량의 70% 이상이 바다로 흐르는 담수에 의존하는 종에서 나온다”라고 말했다.
전 세계적으로 지표수 흐름과 지하수 흐름(blue water)은 인류세(Anthropocene, 인류가 지질학과 생태계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기 시작한 이후의 시대) 동안 인간이 유발한 변화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다. 인류세는 인간 활동이 지구의 기후와 생태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지구 역사상 가장 최근의 기간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지질학적 시기이다.
공동저자인 호주 강연구소(Australian Rivers Institute)의 ARC 펠로우(Fellow)인 크리스토퍼 은데히(Christopher Ndehedehe) 박사는 “주로 농업을 위한 관개와 댐의 광범위한 확산에 의한 지표수의 회수 및 소비가 전 세계 수생 및 육상 생태계에 영향을 미쳐 자연 시스템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림 1] 지하수 충전량 및 추세
![](https://blog.kakaocdn.net/dn/JN8o0/btsBurfNqbQ/ub9ukjd3jNILfrn4ThCzlk/img.jpg)
크리스토퍼 은데히 박사는 특히 “기후변화와 농업 및 물공급의 남용으로 인한 지하수 수위 감소로 인해 토양 침하, 지하수 의존 생태계 악화, 지표수 흐름 감소 및 물 추출 비용 증가가 발생했다”라면서 “해안 대수층에 바닷물이 침입하고 지하수 오염으로 인한 수질이 저하되면서 가정용 및 농업용 물 가용성도 감소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논문의 수석저자인 벤 스튜어트-코스터 박사는 “우리의 연구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거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26억 명의 사람들이 이미 지표수 지구 시스템 경계를 초과했거나 인간의 필요를 충족시키기에 지표수가 부족하기 때문에 지하수가 필요한 강 유역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분석에 따르면 약 14억 명의 사람들이 지표수 지구 시스템 경계를 초과하거나 지하수 재충전이 감소하여 최소 수요를 충족할 수 없기 때문에 물 수요의 변화가 필요한 강 유역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 스튜어트-코스터 박사는 “우리는 지구 시스템 경계 외부의 강 유역에 추가로 15억 명의 사람들이 살고 있으며 지표수가 부족하여 최소한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어 물 공급과 수요 모두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러한 결과는 물에 대한 기본적인 인간 접근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지표수 및 지하수 생태계를 보호하는 과제와 기회를 강조한다.
이번 연구논문의 공동저자인 호주 강연구소의 스튜어트 번(Stuart Bunn) 교수는 “푸른물(지하수)을 위해 안전하고 정의로운 지구 시스템 경계를 충족시키는 것은 인간의 생존과 물 접근에 있어서 현재의 불평등을 해결하는 데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독특한 도전 과제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그림 2] ESBs의 맥락에서 하천 유역의 분류
![](https://blog.kakaocdn.net/dn/bdcsTJ/btsBohsnQhx/A3xs03jkidnXdTbAbuWGQ0/img.jpg)
그는 특히 “사람들의 기본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동시에 담수 생태계와 필수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국제 물 공유 협정(international water-sharing agreements) 재협상, 대중과 정책 입안자 교육 등 인간 시스템의 급진적이고 체계적인 변화가 필요하고,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여 보호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스튜어트 번 교수는 끝으로 “인구 증가, 과잉 소비, 기후변화가 수생 생태계에 미치는 수문학적 영향과 관련된 지구 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시급한 과제를 고려할 때 우리는 모든 사람과 행성을 위한 안전하고 정의로운 미래를 보장하기 위해 이러한 필요한 변화를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물산업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C] "전국 10곳에 댐 짓겠다"‥4대강 갈등 재연될까 우려 (0) | 2023.12.08 |
---|---|
[워터저널] 탄소중립 규범 선도와 보호주의적 기후조치 억제를 위한 ‘기후 클럽’ 출범 (0) | 2023.12.05 |
[워터저널] 한국, 제28차 기후변화총회 의장국 주도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이니셔티브에 동참 (0) | 2023.12.05 |
[환경경영신문] 서울시 상수도 정수장 현대화 사업 본격 가동-강북2정수장 2700억원,광암정수장 2062억원 투자 (0) | 2023.12.01 |
[폴리스TV]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명장정수장 노후시설 정비에 따른 상수도 급수전환 시행 (0) | 2023.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