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산업 관련뉴스

[폴리스TV] 부산시보건환경연구원, 하수 기반 감염성 병원체 감시 사업 확대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 2023. 9. 18. 09:51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이하 연구원)은 올해 9월부터 '하수 기반 감염병 병원체 감시 사업'의 감시 지점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는 코로나19 감염병 등급 전환(2급→4급)으로 인한 감시 공백을 최소화하고, 유행 상황을 면밀하게 감시해 위험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함이다.

연구원은 기존 감시지점인 ▲부산환경공단 수영하수처리장 ▲강변하수처리장 ▲남부하수처리장에 이어 올해 9월부터는 ▲해운대하수처리장과 ▲동부하수처리장으로 지점을 확대해 코로나19, 인플루엔자, 노로바이러스, 호흡기바이러스 7종 및 항생제내성균 등 감염병에 대한 검사를 실시한다.

'하수기반 감염병 병원체 감시 사업'은 환자가 아닌 생활하수 내 바이러스 농도를 분석함으로써 데이터에 기반한 지역사회 감염병 발생 상황과 추이를 파악하고, 유행 예측을 할 수 있다.

환자나 의료인의 검사와 신고를 바탕으로 하는 기존의 임상감시체계와는 달리 개인정보 침해 없이 검사할 수 있고, 무증상 환자에 대한 사전 감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국외에서도 임상감시의 보완적인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검사 결과 생활하수의 코로나19 바이러스 농도와 코로나 주간 확진자 수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코로나19 발생 동향 파악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확진자 수가 소폭 증가하는 시기에는 바이러스 농도도 소폭 증가했으며, 확진자 발생이 감소한 시기에는 바이러스 농도 또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 결과는 질병관리청 감염병 누리집 ‘하수감시 소식지’와 연구원 공식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승윤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부산시민의 건강 및 감염병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하수에서의 병원체 감시를 통해 신종감염병 출현 및 유행에 대한 선제적 대응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라면서 “코로나19 위기단계 하향 조정으로 감소로 인한 감염병 감시 공백의 최소화를 위해 감시 지점을 점차 확대하고, 새로운 감염병의 위기 상황에 대비·대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감시를 이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