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유엔아동기구·유니세프·세계은행 공동 ‘세계 식수 현황’ 보고서 발표
“어떤 어린이라도 더러운 물을 마시거나 물을 구하기 위해 먼 곳까지 가는 위험한 행동을 해서는 안돼”
![](https://blog.kakaocdn.net/dn/GAPdv/btrPY960pUg/SrvPdqxS6BPkxLtiKiecLK/img.jpg)
세계보건기구(WHO), 유엔아동기구(UN children’s agency), 유니세프(UNICEF), 세계은행(World Bank) 등이 공동으로 10월 24일 발표한 보고서 ‘세계 식수 현황 : 모두를 위한 안전한 식수 확보에 대한 진전을 가속화하기 위한 긴급한 조치 촉구(State of the world's drinking water: An urgent call to action to accelerate progress on ensuring safe drinking water for all)’에 따르면 정부는 이 자원에 대한 더 많은 접근을 보장하고 기후변화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안전한 식수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더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구상의 모든 사람들에게 물과 위생 시설을 제공하는 것은 2015년 193개 모든 유엔 회원국이 동의한 지속 가능한 개발목표(SDGs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중 하나이다.
이 보고서는 비록 20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지난 20년 동안 안전한 식수에 접근했지만, 세계 인구의 4분의 1이 여전히 뒤쳐지고 있다고 밝혔다.
기본적 인권(A basic human right)
한편, 기후변화는 가뭄과 홍수의 빈도와 강도를 증가시켜 물 안보에 영향을 미치고 공급을 방해하고 있다. 급속한 도시화는 또한 도시들이 비공식적인 지역사회와 빈민가에 사는 수백만 명에게 물을 공급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WHO)의 환경·기후변화·보건부장인 마리아 네이라(Maria Neira) 박사는 “안전한 식수에 더 많은 접근을 제공하는 것은 많은 생명을 구했고, 그들 중 대부분은 어린이들이다. 하지만 기후변화는 이러한 성취들을 잠식하고 있다”라면서 “우리는 모든 사람들이 사치가 아닌 인권인 안전한 식수에 안정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우리의 노력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s://blog.kakaocdn.net/dn/ZZoDd/btrP0GwKFzH/kr0D9ZoXMdWSjwPr7KEhK0/img.jpg)
중요한 투자(A critical investment)
이 보고서는 물과 건강 그리고 개발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여기에는 보다 안전한 시스템에 대한 자금 지원을 늘리고 서비스 제공을 계획, 조정 및 규제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정부 및 파트너에 대한 실행 가능한 권장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2030년까지 모든 사람이 안전하게 관리하는 식수에 도달한다는 SDG 목표를 달성하는 데 각국이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도 포함된다.
세계은행그룹(World Bank Group)의 물 글로벌 프랙티스 이사인 사로지 쿠마르 자하(Saroj Kumar Jha)는 “물과 위생에 투자하는 것은 건강, 경제 성장, 환경에 매우 중요하다. 더 건강한 아이들은 더 건강한 어른이 되고, 그러면 경제와 사회에 더 많은 기여를 하게 된다”라고 말했다.
어린이 안전 유지(Keeping children safe)
파트너들은 정부와 민간 부문이 식수에 대한 정치적 약속을 극적으로 늘리고 투자를 4배로 늘릴 것을 요구했다.
유니세프(UNICEF)의 WASH(수도·위생관리·위생시설) 및 CEED(기후·에너지·재난 위험 감소) 임시 책임자인 에이단 크로닌(Aidan Cronin)은 어떤 어린이도 더러운 물을 마시거나 물을 구하기 위해 먼 곳까지 가는 위험한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라면서 “접근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식수는 어린이들이 건강하고, 교육받으며, 번창하도록 보장하는 데 필수적이다”라고 역설했다.
![](https://blog.kakaocdn.net/dn/cm2Eb7/btrPT1vbUx3/WmCZlw0wqkfJgNMfdBaHl1/img.jpg)
정부를 위한 행동(Action for governments)
이 보고서는 혁신뿐만 아니라 거버넌스, 자금 조달, 역량 개발, 데이터 및 정보 분야에 초점을 맞춘 지속 가능한 개선에 대한 포괄적인 권고안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품질에 대한 법률과 표준에 의해 지원되는 효과적인 규제 환경을 구축하고, 시행을 보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도 사업자가 효율성과 성능을 개선하고 정부가 안정적이고 투명한 행정, 규제 및 정책 환경을 제공하는 등 모든 출처의 자금을 늘려야 한다. 특히, 혁신과 실험은 또한 정부의 정책과 규제를 통해 장려되어야 한다.
'물산업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터저널] 미국 물산업 투자 확대, 노후화된 인프라 개선이 목표 (0) | 2022.10.31 |
---|---|
[워터저널] 탄소중립·녹색성장 비전과 추진전략 발표 (0) | 2022.10.31 |
[연합뉴스] "양변기 물 내릴때 6L 초과 안되는데 10L 넘는 공공기관도" (0) | 2022.10.28 |
[중도일보] 이천시 "'물 전쟁' 보도는 가짜뉴스" 반박 (0) | 2022.10.28 |
[폴리스TV]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상수도 관련 업체 의견수렴을 위한 소통간담회 개최 (0) | 2022.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