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산업 관련뉴스

[부산일보] 박재호 의원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조기 추진 시급”

부산광역시물산업협회 2022. 10. 24. 09:23

정무위 비금융 종합감사서 지적
낙동강 수질·식수 대책 마련 촉구
심층 취수탑 건설 국비 지원도 요구
국조실장 “2조 5000억 대형 사업
부울경 등 여러 지자체 협조 절대적”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재호 의원(부산 남구을)이 지난 21일 열린 정무위 비금융 부문 종합감사에서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에게 낙동강 수질과 식수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국민이 먹는 물보다 더 중요한 민생 문제는 없습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재호 의원(부산 남구을)은 지난 21일 열린 ‘정무위 비금융 부문 종합감사’에서 가장 중요한 민생 문제로 ‘물’을 언급하며, 낙동강 수질과 식수 대책 마련을 강력히 촉구했다.

박 의원은 이날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에 대한 질의에서 낙동강 매리취수장에서 뜬 원수를 직접 보여 주며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의 조기 추진 △낙동강 심층 취수탑 건설의 국비 지원 △정수지원금 지급 등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며 국조실의 강력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박 의원은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되더라도 2028년에야 취수 다변화가 가능하다”며 국조실이 (부울경)3개 시·도와 잘 의논하고 예산을 더 투입해서라도 사업 절차를 앞당길 것을 촉구했다.

박 의원은 또 “녹조 기간이 길기 때문에 낙동강 심층 취수탑 건설이 현재로선 대안이지만, 부산시가 재정 능력이 없는 상황에서 관련 사업비 약 620억 원을 지자체가 알아서 하라고 하는 건 무책임하다. 4등급 낙동강 물 즉, 불량식품을 팔면서 돈까지 받겠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국가와 부산시가 사업비를 분담하는 방식과 더불어 부산시 세수 확보 차원에서 3등급 이하는 물값을 면제해 주는 방안 등을 건의했다.

특히 박 의원은 “환경부가 더 강력한 단기대책을 만들도록 국조실에서 지시하고 국조실에서는 장기대책도 앞당기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에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은 “낙동강 수질 문제가 중요하고, 국조실 업무 중 가장 큰 업무”라면서 “취수원 다변화 사업은 (총사업비)2조 5000억 원이 예상되는 대형 사업이다. 부산·울산·경남은 물론 대구·경북까지 관련돼 있으므로 여러 지자체의 협조가 절대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취수원 다변화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되어야 부산의 물 문제가 원천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하루에)약 90만t의 맑은 물이 공급되어 경남에 43만t, 부산에 42만t이 나누어져 새로운 맑은 물이 들어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심층 취수탑 건설과 원수 할인 문제와 관련, 방 실장은 “주무부처인 환경부가 부산시 고민을 잘 알고 있고, 고민하고 있다”면서도 특정 지역만 지원하는 데 따른 형평성 문제 등을 거론하며 “재정문제와 관련해서는 여러 부처와 관련된 사안이라 잘 챙겨 보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앞서 박 의원은 지난 4일 국회 정무위 국무조정실·국무총리비서실 국정감사에서 “올해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석 달간 부산시의 낙동강 유역 물금취수장·매리취수장의 낙동강 원수 수질 오염도 측정 결과, 이 시기에 낙동강은 녹조 범벅인 상태였다. ‘두 정수장 중 한쪽이라도 4등급 이하 수질’을 날로 따지면 총 58일”이라며 “고도 정수를 해도 공업용수로밖에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58일간 공업용수로나 적합한 물을 식수로 부산시민에게 공급했는데, 대안이 없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낙동강에서 폐수에 가까운 6등급 물이 11일간 공급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같은 기간 서울의 한강수계와 대구의 낙동강은 한 번도 5등급 이하의 수질로 떨어진 날이 없었다. 특히 대구 같은 경우에 구미 등 상류지역은 부산보다 월등히 더 수질이 좋았다는 것을 알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