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후 온난화에 따른 수온 상승으로 서식지 확대
![](https://blog.kakaocdn.net/dn/bg8fWu/btrNdshp83a/yNkNF2IHWmipvV8HyuLUF0/img.jpg)
이른바 '사람의 뇌를 먹는 아메바'로 알려진 '네글레리아 파울러리'(Naegleria fowleri)가 미국 강과 호수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보도다.
현지시간 21일 영국 가디언은 미국 남부지역에 서식했던 네글레리아 아메바가 최근 중서부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고 북쪽 미네소타주에서도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이 아메바는 섭씨 30도 이상의 따뜻한 물에서 번식해 주로 기온이 높은 미국 남부 지역에서 발견됐지만, 최근 기후 온난화에 따른 수온 상승으로 서식지가 넓어졌다.
지난 8월 미국 중부 네브래스카주에서 한 아동이 숨졌는데, 보건 당국은 아이가 엘크혼 강에서 수영하다 아메바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네글레리아 아메바는 일반적으로 호수나 강과 같은 따뜻한 담수에서 수영이나 다이빙을 할 때 감염되며, 코를 통해 뇌로 들어가 조직을 파괴한다.
아메바에 감염되면 초기에는 세균성 수막염과 비슷해 심한 두통, 발열, 메스꺼움, 구토 증상이 나타나지만 이후 경직, 환각, 혼수상태로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감염 자체는 드물지만 아직 치료제가 없고 진행 속도가 빨라 5일 이내에 사망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치사율이 무려 97%에 이른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1962년부터 2020년까지 보고된 감염사례는 151건이며 생존자는 4명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수온 상승으로 아메바의 번식과 성장이 쉬워지는 만큼 감염률도 함께 높아질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아리조나대의 미생물학자 찰스 저바는 "잠수를 가급적 피하거나 특히 어린이의 경우 노즈클립(수영용 코집게)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https://blog.kakaocdn.net/dn/TIl9U/btrNdo0l81E/0eNTcgHSRvKXvIgrv1QBRk/img.jpg)
'물산업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일보] 올해도 암 사망률 1위 부산 ‘오명 탈출’ 의지 있나 (0) | 2022.09.30 |
---|---|
[폴리스TV]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 환경 분야 국제숙련도 최우수 분석기관 선정 (0) | 2022.09.28 |
[폴리스TV] 부산광역상수원 30년 동안 원점에서 ‘뱅뱅’…정부와 부산시의 무사 안일한 태도가 문제 (0) | 2022.09.27 |
[오마이뉴스] "낙동강 물 더럽다고 버리나... 원인 제거해 깨끗이 해야" (0) | 2022.09.27 |
[폴리스TV] 환경부, 민관이 함께 화학물질 등록제도 개선방향…2022년 화학안전정책포럼 제5차 공개토론회 개최 (0) | 2022.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