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세계에서 처음으로 국가 단위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홍수예보체계를 도입하는 등 물 재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1794개에 달하는 읍·면·동 홍수위험지도도 기존 예정보다 1년 앞당겨 내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지난해 8월 발생한 집중호우와 태풍에 전국적으로 인명 피해 등이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3일 환경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올해의 업무계획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국가 단위로는 세계 최초로 도입하는 ‘AI 홍수예보’는 빠르고 촘촘한 예보로 침수위험을 조기에 알리는 시스템이다. 기존엔 3시간 전부터 예보가 이뤄졌지만 AI를 도입하면 6시간 전에 예보가 가능해진다. 오는 6월 서울 도림천에 시범 적용 후 국가 및 지방하천 223개 지점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애초 2025년을 목표로 시작한 홍수위험지도는 완료 시점을 1년 앞당기기로 했다. 기존 500년 빈도 강우까지 표시하기로 했던 하천범람지도는 500년 초과 사례까지 추가하기로 했다.
수돗물과 관련해선 올 연말까지 취수원에서 가정까지의 전과정을 스마트 관리체계로 구축하기로 했다. 정수장에 유충이 발생했을 땐 가정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시설도 개선하기로 했다.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은 올해 타당성 조사를 진행하는 한편 오는 7월 전에 에코 로봇을 활용한 녹조 제거 추진에도 나선다. 배가 진입하기 힘든 구역을 중심으로 녹조를 제거하는 에코 로봇은 금강 대청댐에 시범사업을 벌인 후 다른 수계로 확대를 검토할 예정이다. 이밖에 업무계획에는 ▷탄소중립 이행 ▷녹색산업 육성 ▷생활 속 환경 안전망 구축 등에 따른 과제가 담겼다.
'물산업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터저널] 녹색산업, 2023년 20조원…윤석열 정부 임기 동안 100조원 수출 (0) | 2023.01.05 |
---|---|
[워터저널] “고품질 소독 수처리제 선별 사용,고품질 수돗물 생산에 기여” / 김영규 용인대 교수 (0) | 2023.01.05 |
[대한경제신문] 한화진 환경장관 “물관리 백년대계 다시 짜야” (0) | 2023.01.03 |
[워터저널] DGIST, 값싼 원료로 초고속 수질정화 가능한 친환경 소재 개발 (0) | 2023.01.02 |
[MBC] 이동식 해수담수화시설‥'섬 가뭄 해결사' (0) | 2023.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