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부산경남 먹는 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은 하세월입니다.
피해지역에 대한 대규모 보상이 선행돼야 풀릴 문제라는 점에 정부도 공감하고 있지만, 속도가 날지가 관건입니다.
김동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녹조 범벅이 된 낙동강입니다.
독성 물질을 뿜어내며 식수원 안전을 위협하는 비상 상황이지만, 긴급 현장점검 말고는 대책이 없습니다.
가장 시급한 민생문제인 낙동강 수질과 식수 문제가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정수를 해도 마음놓고 마실 수 없는 낙동강 물의 취수원 다변화 조기 추진이 가장 큰 현안입니다.
{박재호/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부산 남구을)/”2028년이 되어서야 다변화가 가능하다라고 이야기를 하거든요. 국무조정실이 3개 시도에 잘 의논하셔서 당길 수 있는 방법을,, 예산을 더 투입하시더라도 해야된다.”}
정부 역시 낙동강 수질 문제가 중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지만, 결국은 예산문제입니다.
{방문규/국무조정실장/”여러 지자체에 걸쳐서 협조가 되어야지만 이사업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약 2조 5천억원에 해당되는 대형사업입니다.”}
취수원 피해지역에 대한 대책 마련과 파격적인 보상이 필요하다는 점에 정부가 공감하고 있는 겁니다.
연중 행사처럼 반복되며 낙동강 오염원이 되고 있는 녹조 대응책으로 심층취수탑 건설에 대한 고민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박재호/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부산 남구을)/””심층취수탑을 건립해야 된다, 맞습니다. 그런데 거기에 드는 돈이 620억 드는데 이것을 지자체가 너희들 알아서 해라 이렇게 하면 진짜 무책임 하잖아요.”}
낙동강 취수 다변화 추진과 심층취수탑 건설 국비 지원 등 부산경남 식수원 해결에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는 정부의 파격적인 지원이 절실해지고
있습니다.
KNN 김동환입니다.
'물산업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리스TV]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상수도 관련 업체 의견수렴을 위한 소통간담회 개최 (0) | 2022.10.27 |
---|---|
[폴리스TV] 부산대 신현석 교수…대통령 직속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분과위원장 위촉 (0) | 2022.10.27 |
[폴리스TV] 환경부, 폐플라스틱 2025년까지 100만t 줄인다…'20% 감축안' 발표 (0) | 2022.10.25 |
[adinews] 전국 지방하천 관리 실태 엉망...김형동 '기본계획수립·재정비 통해 재해 막아야' (0) | 2022.10.25 |
[폴리스TV] 부산시, 대규모 수질오염사고 합동방제훈련 실시 (0) | 2022.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