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환경부에 오염물질 배출업소 추적요청
환경단체·부경대 연구팀 조사 결과서 확인...수문 개방 통한 수질 개선 촉구
![](https://blog.kakaocdn.net/dn/BbvRs/btrLjjUNO30/dkNBHqGkuNTDCBd0cjixFK/img.jpg)
지난 4월 부산의 상수원인 물금·매리취수장 원수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거기다 올해 여름철 낙동강 녹조 심화로 인해 먹는 물에까지 독소가 퍼진 것으로 확인되면서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낙동강네트워크·대한하천학회·환경운동연합 등은 31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영남의 가정집 수돗물에서 녹조 독이 나왔다”며 “정부는 영남인에게 사죄하고 하루속히 대책을 마련하라”며 낙동강 보 수문 개방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들이 지난 7월 14일부터 8월 25일까지 경북, 대구, 경남, 부산지역 수돗물 22개 샘플을 채수해 수질을 확인한 결과 부산 1개, 경남 4개, 대구 2개에서 독소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
이번 조사는 부경대 이승준 교수팀이 정밀 효소면역측정법(ELISA)으로 분석을 통해 확인했으며 부산의 경우 지난 12일 채수한 부산 수영구 샘플에서 확인됐다.
마이크로시스틴은 국제암연구기관이 발암물질(MC-LR)로 지정했으며 청산가리(시안화칼륨)의 20~200배 독성을 지닌 맹독 물질로 남성 정자수 감소 생식 독성에 따라 프랑스,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기준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
부산시에 따르면 최근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가 지난 4월 시행한 수질조사 결과, 물금·매리취수장 원수에서 과불화옥탄산이 먹는 물 감시기준인 리터당 0.070㎍의 22.9%, 1,4-다이옥산은 기준치인 리터당 50㎍ 범위 내에서 2%가량 검출됐다.
![](https://blog.kakaocdn.net/dn/tufdx/btrLkuV3VkC/ZG89SfZYJciGG8pKGNeffk/img.jpg)
이에 부산대학교 녹색국토물관리연구소장인 신현석 교수는 “부산시민의 상류 댐 맑은 물 마시는 것은 타협대상이 아닌 천부적 생명권이다”며 “정부와 부산시는 부산시민 생명을 가벼이 보지 말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신 교수는 “이제 하천오염의 가장 큰 비중은 강우 시 도로·건물 등에서 축적(buildup)되고 쓸려 내려가는(washoff) 먼지·쓰레기 그리고 기름 등의 비점오염물질 (nps)이다”며 “최근에는 불명의 미소유해물질이나 미소플라스틱 등으로 인해 낙동강 하천을 식수로 사용하는 부산시민들은 항상 식수위험과 생태위기의 직격피해를 아는지 모르는지 무지하게 살고 있다”면서 “그래도 정부나 부산시는 350만 부산시민의 일 100만 톤의 안전한 먹는 물의 공급에 나태한 직무유기를 30년째 하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최근 대구시 홍준표 시장의 뚝심 있는 안동댐 물 확보 전쟁을 보며, 오히려 더 먹어서는 안 되는 하구똥물 처리해먹는 부산시의 대응이 안이하기만 하다”며 “나는 25년간 한 번도 굽히지 않고 항상 맑은 댐 물을 부산시민들이 마실 권리는 환경단체나 타지자체와의 타협의 대상이 아니라 정부가 책임질 부산시민의 천부적 생명권이고 끝까지 포기하지 말아야 된다는 신념으로 주장해 왔다”면서 “부산시민의 안전하고 맑은 물 확보를 위한 정부의 결단, 그리고 무관심하고 나태한 지역 국회의원들(실제 이들 가족은 서울 깨끗한 물 먹고 살고 있어서 그런지도)의 각성과 행동이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신 교수는 “이를 위해 두 가지 질문을 해본다”며 “첫째, 서울 심지어 인천은 팔당댐·소양강댐, 대전은 대청댐, 심지어 상류에 수원 댐도 없는 광주는 섬진강의 주암·섬진강댐물, 그리고 대구는 운문댐·안동댐 물을 마시고 있는데 왜, 부산시민만 왜, 대구, 구미, 진주에서 싸고 버린 매날 오염사고 나는 하구물을 마셔야 하는가?”라고 물으면서 “둘째, 낙동강 하구 하천 물을 부산시민이 마셔야 낙동강이 산다는 말도 안 되는 식수와 하천관리 구분도 못하는 환경선동, 그리고 아무리 더러운 똥물도 고도상수처리하면 된다는 부산시상수도사업본부 공무원들, 그럼 왜 환경운동가들 공무원들은 솔선해서 직접 부산 수돗물을 매일 직접 마시지 못하는가?(부산시 상수도의 직접 식수율, 수돗물 마시는 비율은 전국 최하이다. 왜?) 이제는 부산 시민들이 분노하고 나설 때이다”라고 촉구했다.
'물산업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터저널] 수도권 집중호우 원인과 대책 (0) | 2022.09.06 |
---|---|
[에이빙뉴스] 하이클로, ENTECH 2022서 직접 냉각방식 1종 차염 발생장치 'K750' 소개해... "고품질의 안전한 물 공급" (0) | 2022.09.05 |
[부산일보] 부산 수돗물에서 녹조 독성 물질 검출되었다니 (0) | 2022.09.01 |
[국제신문] 환경단체 "부산 경남 수돗물서 녹조 독소 검출" (0) | 2022.09.01 |
[국제신문]북극 해빙(海氷), 30년간 한반도 8개 면적 사라졌다 (0) | 2022.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