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 분야 77개 공종 2천329개 위험요인 표준화
현장 적용해 위험요인 사전 파악, 안전사고 예방
![](https://blog.kakaocdn.net/dn/swbew/btruWQ1d55j/sQKLf9Lj5c0PKj3q0NmjS1/img.jpg)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중대재해를 예방하고 현장 근로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상수도 분야 ‘위험성평가 스마트 표준안'을 전국 최초로 마련했다.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이 같은 내용의 ‘위험성평가 스마트 표준안’을 마련해 2022년도 1차 산업안전보건위원회에서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위험성평가 스마트 표준안’은 취‧정수장, 배수지, 맨홀 등 상수도 시설물이 가진 특수성 및 상수도 관로 공사 등 주요 사업의 특성을 반영해 각 시설‧공사별 위험요인이 무엇인지를 표준화한 평가 기준이다. 시설 및 작업 특성을 따라 6개 분야, 77개 공종(작업‧처리형태)으로 분류, 총 2천329개의 위험요인을 도출해 표준화했다.
고용노동부의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을 토대로 상수도 현장에서 반복되는 중대재해 요인들을 발굴하는 방식으로 마련했다. 별도의 용역의뢰 없이 상수도사업본부의 경험 많은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지난 3개월간(작년 12월~올해 2월) 사업장을 순회 점검하며 상수도 발주사업 및 시설물을 자체적으로 전수조사 했다.
상수도사업본부는 이 표준안을 모든 공사 및 시설물 유지‧관리 현장에 적용한다. 사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위험요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그로 인한 근로자의 부상‧질병 발생 가능성, 중대성 등을 분석해 안전사고를 예방한다는 목표다.
아울러 긴급하게 발생하는 상수도관 누수 복구 공사 현장에서 위험성평가를 즉시 할 수 있도록 ‘아리수 맞춤형 체크리스트’도 새롭게 마련했다. 최근 누수 복구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주요 사고 요인 및 위험성을 망라해 담은 한 장 분량의 간결한 체크리스트다.
현장 지식이 풍부한 퇴직공무원 10명이 수돗물 생산·공급·유지관리 분야 현장을 점검하는 ‘시니어-틈새안전지원단’단도 구성했다. 오는 3월부터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다.
본부 직원과 함께 주요 공사장의 상수도 위험시설물 점검에 동행해 산업안전 위험 요소를 발굴하고 개선안을 제안한다. 향후 신설될 상수도 현장실습장(남양주 강북아리수정수센터 내 위치)에선 실습 강사로 상수도 현장 실무의 노하우를 전수할 예정이다.
구아미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상수도 분야의 특수한 환경을 반영한 ‘위험성평가 스마트 표준안’과 ‘시니어-틈새안전지원단’ 운영을 통해 직원 및 근로자들의 안전과 보건을 유지·증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중대재해 예방과 생산성 향상은 물론 직원들의 근무 만족도도 높아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물산업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리스TV] 환경공단, 제16회 자원순환 선도기업 대상 공모 (0) | 2022.03.11 |
---|---|
[부산일보] 진주시 "소상공인 상하수도료 최대 50% 감면" (0) | 2022.03.10 |
[폴리스TV] 환경부, ‘2021 환경백서’…주요 환경정책 전반에 대한 정보 제공으로 국민 체감도 확산 기대 (0) | 2022.03.02 |
[폴리스TV] 국립환경과학원·한국원자력환경공단, 인공지능(AI) 활용한 지하수 관리 추진 업무협약체결 (0) | 2022.02.25 |
[국제신문] “부산 물 산업 활력 일으킬 선도기업 지정…육성해야” (0) | 2022.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