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물관리 기술 발전 및 물 산업 진흥 기본계획
선진국 진출로 수출·수주 확대…기술개발에 4천100억원 투입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정부가 2028년까지 물 산업 시장 규모를 60조원으로 키우고 앞으로 5년간 4천100억원을 투입해 '미래 핵심 물관리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15일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7회 심의회에서는 제2차 물관리 기술 발전 및 물 산업 진흥 기본계획이 의결됐다.
이 기본계획은 물산업진흥법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되는 법정 계획이다.
2차 기본계획은 '미래 핵심 물관리 기술 선점을 통한 물 산업 강국 실현'이라는 비전 아래 수립됐다.
정부는 현재 47조원인 물 산업 시장 규모(매출액 기준)를 2028년까지 60조원으로 키운다.
이를 위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생산에 꼭 필요한 '초순수' 생산기술의 국산화를 완수하고자 지원기구 격인 '초순수 플랫폼 센터'를 만든다. 강원 춘천시에는 '수열에너지 클러스터' 조성 등을 통해 물-에너지 융복합 산업을 육성한다.
또 2028년까지 4천100억원을 투입해 수량 등 수자원 정보를 관리하는 디지털 기술과 '댐-하천 가상모형'(디지털트윈) 등 물관리 기술을 개발한다.
정부는 물 산업 수주·수출액을 현재 3조원에서 2025년까지 5조5천억원으로 늘린다는 목표도 세웠다.
그간 물 산업 수주·수출은 동남아시아 등의 개발도상국 위주로 이뤄졌는데 앞으로 선진국 시장 개척에도 나선다.
이에 미국 시장 진출 시 필요한 '미국 환경 국가표준 인증'(NSF) 취득을 대행하는 서비스와 선진국 15개 인증에 대한 사전시험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정부는 물 산업 육성을 통해 관련 종사자 수를 2028년 23만명으로 현재보다 3만명 더 늘릴 계획이다.
'물산업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리스TV〕 수도 요금,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고지 받고 납부하세요!… 신규 가입 이벤트 실시 (0) | 2024.04.15 |
---|---|
〔경향신문〕 집값 위협하는 기후위기···‘침수주택’ 100m 안에만 있어도 2.8% 떨어져 (0) | 2024.04.14 |
의정부시, 염소 아닌 안전한 '차염' 소독 설비 전면 교체 (0) | 2024.04.12 |
국가물관리위원회, 재난관리책임기관 간 가뭄 공동대응해법 찾는다. (0) | 2024.04.12 |
〔폴리스TV〕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 2023년 지방공기업 발전 유공 행정안전부장관 기관 표창 수상 (0) | 2024.04.11 |